이름: K**** J**** 날짜: 2024-03-20 00:16:40 코멘트: 5 코멘트: 보존이 잘 되어있고 큐레이터 분이 지역 역사와 연계하여 잘 설명해 주십니다. 김중업 박물관과 같이 있습니다.
이름: j******* l** 날짜: 2022-09-28 07:58:08 코멘트: 4 코멘트: 안양시가 통일신라, 고려시대 불교의 중심지였다는 것을 알수 있는 유적이다.
이름: �** 날짜: 2022-03-08 06:33:38 코멘트: 5 코멘트: 중초사지마애종에서 50여m 거리에 있는 석수동에 중초사지가 있다. 현재 사지에는 보물제4호로 지정된 당간지주와 보물제5호인 삼층석탑이 남아 있다. 당간지주는 827년(신라 흥덕왕 2 정미)에 건립된 것으로, 높이 약3.9m이며 화강석으로 명문이 있다. 삼층석탑은 827년 2월 건립된 것으로 높이 약3.6m, 재료는 화광석이다.명문에는 826년(홍덕왕 1 병오) 8월 6일에 채석하여 827년 2월 3일 완료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본인이 석실고분을 확인하던 날 사지 뒤 삼성산 290여m 높이 지점에 화강암 바위에서 채석한 흔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삼층석탑과 관계여부 불명. 견사진)당간지주/부처와 보살의 공덕과 위신을 기리는 불교 용구인 당(일종의 깃발)을 달기 위한 당간(깃대)을 고정해 주는 두 개의 지주대를 말한다. 주로 절의 입구에 세워졌다. 중초사지 당간지주명에보력 2년(826년) 세차 병오 8월 초엿세 신축일에 중초사 동쪽 승악(현재의 관악산을 승악으로 지칭한뜻)의 돌 하나가 둘로 가라져 이를 얻었다.같은 달 28일 두 무리가 일을 시작하여 9월 1일 이곳에 이르렀으며, 이듬해 정미년(827) 2월 3일에 모두 마쳤다.삼층석탑/여러 자료에 의하면 현재 위치에서 지점. 옛 유유산업 생산동(현 안양박물관) 뒤편에 붕괴된 체로 있었는데, 생산건물을 건축하면서 옮겼다고 한다. 현재 2층과 3층의 탑신석 등 여러 부재가 없어진 것이며, 3층 옥개석 상면에는 상륜부를 고정했던 작은 구멍이 있다. ...이와 같은 비례의 탑신은 고려시대에 많이 건립되었다. ...기와편을 수습하여 한곳에 모아놓았다(견사진)사지내 안양시 박물관과 건축가 김중업기념 건물 등이 있다. 당간지주와 삼층석탑은 정문에서 사지로 들어오면 왼쪽에 자리 잡고 있다.
더 많은 댓글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름: �** 날짜: 2019-12-14 03:08:15 코멘트: 5 코멘트: 우리나라 보물
이름: �** 날짜: 2019-04-20 04:07:16 코멘트: 4 코멘트: 은혜로운 장소입니다.
이름: K**** J****
날짜: 2024-03-20 00:16:40
코멘트: 5
코멘트: 보존이 잘 되어있고 큐레이터 분이 지역 역사와 연계하여 잘 설명해 주십니다. 김중업 박물관과 같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