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전도비

category: 역사적 명소, 기념물, 야외 박물관
address: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석촌호수로
services: 아동: 어린이 환영,

site: https://www.songpa.go.kr/culture/contents.do?key=3854
rayting: 4.2



이름: �*** � �*
날짜: 2024-05-04 02:27:12
코멘트: 4
코멘트: 롯데월드어드벤처

이름: �****
날짜: 2024-04-08 05:00:22
코멘트: 4
코멘트: 치욕의 역사라도 기억해야 할 유산
PhotoPhoto

이름: M*********
날짜: 2024-04-05 06:30:03
코멘트: 4
코멘트: *치욕적 역사의 잔재선진국이 된 한국의 상징과도 같은 롯데타워 근처에 뜬금없이 있는 비석.지붕이 달려있어 잘 보존은 되겠으나 주변과 어울리지 않는 어색한 디자인이 아쉽다.
더 많은 댓글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름: h***** S**
날짜: 2023-08-03 10:03:26
코멘트: 5
코멘트: 청나라가 멸망한지 100년이 넘었지만 이 비석은 아직도 남아있습니다. 웃다 죽는다

이름: �*
날짜: 2023-01-08 12:56:57
코멘트: 5
코멘트: 우리나라 역사를 대표하는 비입니다.
PhotoPhoto

이름: b*** s**
날짜: 2022-11-16 04:34:31
코멘트: 5
코멘트: 병자호란에 패한 인조는 한강나룻터였던 삼전도로 나와 청 태종의 신하가 되는 의례를 거행했다 인조17년(1639)에 세운 삼전도비(서울시 사적제101호)의 원래 이름은 대청황제공덕비이며 거북모양의 받침돌위로 몸돌을 세우고 그 위에 머릿돌을 용모양으로 장식했다. 몸돌 앞면에 청에 항복했던 상황과 청 태종 공덕을 칭송하는 내용을 만주문자와 몽골문자로 새겼고 뒷면에 한자로 새겨놓았다. 고종32년 청일전쟁이 끝난뒤 땅속에 묻혔으나 1079년 일제총독부가 다시세웠고, 1959년 문교부 주도로 다시 묻히는 수난 격기고 했으나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면서 원래위치에 가장가까운 곳에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 2010년 지금의 자리로 옮기고 보호각을 설치했다.

이름: �* �****
날짜: 2022-08-05 08:30:03
코멘트: 4
코멘트: 기억해야 할 역사적인 것을 유지해주셔서 고맙고요.근데 관리를 쬐끔맛 더 신경 써주셨으면 좋겠습니다.음각 부분이 벗겨져서 읽기가 좀 힝들었어요^^
PhotoPhotoPhoto

이름: C******* M*** (***
날짜: 2022-05-16 11:29:56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적 의미를 되뇌이고, 석촌호수 한바퀴 돌면 좋은 운동이 될 듯

이름: C**** K** J****
날짜: 2022-04-17 15:54:42
코멘트: 5
코멘트: 전쟁을 잊은 민족은 평화가 없다!몽고족에 임금이 땅에 이마를 찧어 피가 나도록 항복의 절을 해야 했던 굴복의 상징인 비석입니다!

이름: �*
날짜: 2022-01-30 06:21:26
코멘트: 4
코멘트: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롯데월드타워를 꼽을 수 있습니다. 롯데월드타워는 우리나라 경제력을 웅변하는 상징적 건물입니다. 건물 맞은편 석촌호수에는 현재의 영광에 대비되는 과거의 치욕적인 기록이 문화유산으로 남아 비석으로 우뚝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비를 우리는 삼전도비라 부릅니다. 이 비석은 만주어, 몽골어, 한자로 기록했는데 머릿글에는 대청황제공덕비 라 적혀 있습니다.조선왕조 5백년 역사를 돌아보면 치욕적이고 굴종적인 3차례 역사적 사실과 마주하게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첫번째로 조선을 7년간 전란으로 몰아 넣었던 임진왜란, 두번째로 청나라에 항복한 후 군신관계를 맺은 병자호란, 세번째는 조선이라는 나라를 총 한 번 쏴 보지도 않고(국가적인 저항없이) 고스란히 일본에게 나라를 바친 인류역사상 유래를 찾기 힘든 한일병탄입니다. 그 결과 36년이라는 식민통치를 받습니다.위에서 언급한 세차례 국난은 공통점이나 유사점이 있습니다. 국난발생 당시 국왕이 왕궁을 버리고 다른 장소로 이궁을 했다는 공통점입니다. 첫번째 사건인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질풍노도와 같이 한양으로 쳐들어오는 왜의 기세에 지레 겁먹고 궁궐을 버리고 야반도주하듯 평양과 의주로 몽진한 선조가 역사의 첫 주인공이 되었는가 하면,신생국 후금(청나라) 황제 홍타이지가 친히 조선정벌에 나선 병자호란과 이전에 발생한 정묘호란은 임진왜란을 반면교사로 삼아 군사력을 키워야할 국왕과 대신들은 국력배양은 커녕 인조반정이라는 국가적 정변과 당파싸움을 비롯한 이념싸움에 매몰되어 극동아시아의 국제질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근시안적 대처로 국왕인 인조와 그 일가족이 강화도와 남한산성으로 피신하는 일이 있었습니다.마지막 세번째 사건은 구한말 밀림속 정글과 같이 약육강식이 통하는 엄중한 국제정세에 국왕의 무능과 처족들의 측근정치, 매관매직이 만연한 부패정치, 고종 자신의 안위를 위한 보신주의로 타국 대사관에 피난처를 타진하는 등 일국의 국왕으로 취할 수 없는 일련의 행위가 다반사이더니 마침내 러시아공사관으로 파천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역사는 이를 아관파천이라 부릅니다.3대 치욕적인 국난의 또다른 유사점은 한결같이 국왕의 무능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고 여기에 더해 안이한 국제정세 대처능력 부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앞의 두 차례 국난은 국제정세 정보부족에 따른 오판의 결과라 할 것이고, 여기에 더해 성리학적 가치관 차이에 따른 당쟁이 벌인 명분싸움의 결과라 할 것이며 마지막 고종의 행위는 최고통치권자의 무능과 황제 개인 그리고 황실 안위에 따른 매국행위의 결과라 개인적으로 판단합니다.삼전도비로 돌아와서 당시 상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군신관계를 맺은 청은 조선 조정에 명하기를 청태종의 치적을 칭송하는 비문(안)을 지어 올리라고 명합니다. 청의 요구에 인조는 대신들에게 비문 작성을 명하는데 인조의 명을 거부하는 조선 조정 대신들의 온갖 핑계와 작태를 보노라면 한심하기 그지없습니다. 우여곡절과 기나긴 논쟁 끝에 채택된 비문 작성자를 두고 우암 송시열의 뒤끝이 작렬합니다. 송시열의 편협된 사고는 윤선거 비문 문제로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되는 단초를 제공하게 됩니다.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차랑의 행렬, 하늘로 치솟은 555m에 달하는 123층 롯데월드타워, 세계 경제 10위권의 대한민국. 지금의 영광과 극명하게 대비되는 삼전도비의 치욕적인 굴종. 영욕이 교차하는 과거와 현재의 상징적 건물과 유적비 앞에서 만감이 교차합니다. 그 현장을 하나의 사진으로 담아 이곳에 몇 자 글로 남깁니다.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K** C****
날짜: 2021-11-27 02:44:28
코멘트: 4
코멘트: 역사를 숨기고 부끄러운 줄 모르는 자들이 같은 짓들을 반복하고 있다.

이름: �**
날짜: 2021-08-26 11:52:04
코멘트: 4
코멘트: 주차장 넓고, 가격대비 아주좋아요.

이름: H*** L**
날짜: 2021-05-09 07:53:31
코멘트: 5
코멘트: 삼전도비의 기구한 사연은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니 미리 알아보고 가면 좋겠습니다. 청나라가 위세를 내보이려 조선에 명령해 만든 비석이라 규모가 웅장하고 3개 언어로 씌어진 점도 주목할 만한 점입니다. 석촌호수에 있어 접근성도 아주 훌륭하네요.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C** H**
날짜: 2021-02-24 06:32:07
코멘트: 5
코멘트: 가까이 있으면서 여기에 있는지 몰랐어요한번정도 가보기 좋을듯 합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
날짜: 2020-04-23 22:50:25
코멘트: 5
코멘트: 아픈 역사

이름: �*
날짜: 2020-01-07 19:48:07
코멘트: 5
코멘트: 중국 한족의 나라인 ‘명나라’ 를 정복한 ‘청나라 (구 후금)’ 의 황제가 직접 서울까지 처들어와서 남한산성 에서 존버타던 개쫄보 인조를 멱살잡고 서울 송파구 삼전동 끌고옴.그리고 바닥에 머가리 3번 찧게 만들어서 뚝배기를 터트린 사건을 기념하는비.이 비석 통해 라인을 잘타라는 교훈을 얻을수있다.(보스는 부하들 버리고 튀지말라는건 덤)굉장히 치욕스러운 역사의 유물이지만, 잊어서는 안될 교훈을 주는 유물.

이름: �***
날짜: 2019-08-26 12:54:48
코멘트: 4
코멘트: 치욕적인 역사의 흔적만큼이나 부침이 많았던 비석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19-05-05 07:46:50
코멘트: 4
코멘트: 역사유물

이름: J****** C***
날짜: 2018-11-23 09:12:10
코멘트: 4
코멘트: 아픈 역사도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역사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z** i**
날짜: 2018-07-06 02:20:28
코멘트: 5
코멘트: 병자호란 때 청의 침공으로 조선이 참패하여 인조가 청태종 앞에서 삼배구고두로 항복하였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 석촌호수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