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숭림사 보광전

category: 불교사찰, 관광 명소
address: 대한민국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 5
rayting: 3.6
services: 접근성: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이름: �**
날짜: 2024-03-05 08:42:15
코멘트: 4
코멘트: 역사의 시갸

이름: S**** J*** L**
날짜: 2022-03-11 12:21:30
코멘트: 5
코멘트: 제작연도17세기경사조불교미술종류건축물기법목조 기와집 (정면 3칸, 측면 2칸)소장처숭림사문화재 지정번호보물보광전은 숲이 울창한 산자락을 배경으로 하여 낮은 2중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세운 단층 다포계 맞배지붕 건물이다. 문은 정면 3칸에 3짝띠살분합문, 좌우 측면 귀기둥 옆에 외짝띠살문을 달아 출입하게 하였다. 정면은 기둥의 간격과 높이가 비슷한데, 여기에 안팎 모두 3출목의 높은 공포를 짜 올려 경쾌하게 맞배지붕을 들어 올리고 있다. 외부살미첨차의 제1, 2, 3 살미는 긴 하향곡선을 그리며 끝이 약간 휘어 올라간 앙서이며, 제4살미는 당초문을 투각하여 길게 돌출시키고 그 위에 봉두(鳳頭)와 연봉을 상하로 조각한 부재를 얹었다.내부에는 뒤편에 가는 4각기둥 2개를 세워 대들보에 연결하여 중심부를 형성한 다음, 비로자나삼신불화를 걸고 불단에는 비로자나삼신불좌상(1613년작)을 봉안하였으며, 그 위쪽에 어칸보다 폭이 더 크고 도리방향 어칸 천정을 거의 덮을 정도인 중아자형(重亞字形) 지붕모양 천개를 설치하였다. 즉 천개는 정면 5칸, 측면 3칸인 다포계 중아자형 지붕인데 맨 안쪽에는 모를 죽인 팔각형 감입천정 안에 운룡과 극락조를 조각하여 늘어뜨렸고, 그 앞칸에는 극락조를 그리고, 또 그 앞칸에는 용을 그렸다. 기둥을 투각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부안의 개암사 대웅전의 작풍을 따르고 있는 점으로 볼 때 17세기 작으로 추정된다(한국불교미술대전)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
날짜: 2019-04-06 06:57:24
코멘트: 4
코멘트: 한적
Photo
더 많은 댓글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름: �**
날짜: 2018-06-09 09:44:53
코멘트: 5
코멘트: 완전추천 힐링
PhotoPhoto

이름: �**
날짜: 2018-05-30 02:06:17
코멘트: 5
코멘트: 마음수양과 시설과조경이 굿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