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마을활력소성미산마을회관
category: 비영리단체
address: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 250-23번지
Phone: +82 2-3144-6884
worktime:
address: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 250-23번지
Phone: +82 2-3144-6884
worktime:
낮 | 시간 |
---|---|
월요일 | 오전 10:00~오후 8:00 |
화요일 | 오전 10:00~오후 8:00 |
수요일 | 오전 10:00~오후 8:00 |
목요일 | 오전 10:00~오후 8:00 |
금요일 | 오전 10:00~오후 8:00 |
토요일 | 휴무일 |
일요일 | 휴무일 |
site: https://sungmisan.org/
rayting: 4.8
services: 접근성: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rayting: 4.8
services: 접근성: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이름: B***** G*
날짜: 2019-10-09 01:31:52
코멘트: 5
코멘트: 마을 공동체는 90년초 지방자치의 시작으로 주민들과 지역의 리더를 맡고 있는 사람, 시민활동가들이 지역공동체의 회복을 도모하고 활성화를 위한 자발적인 노력을 전개하면서 생겨났습니다.마을이란 단어는 촌락(村落)과 같은 뜻으로 동단위 보다는 작은 규모의 공간으로 일상생활을 함께 하면서 소통을 바탕으로 공동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즉 마을공동체란 주민들이 모여 자신들이 속해 있는 마을의 관한 일을 주민들 스스로 해결하고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마을공동체의 종류는 정보화마을, 평화생태마을, 체험휴양마을, 자연생태우수마을, 마을기업, 희망마을 등이 있습니다.마을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업들도 다양한데 전통시장이나 상가활성화, 자연상태관광사업,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생활 공간 개선이나 사회복지 시설 확충사업 등으로 그 수는 셀 수 없이 많습니다.마을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지는 만큼 정부에서도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소통의 장을 열기도 했습니다.2015년 11월 9일부터 11일까지 열린 공동체 글로벌 한마당에서는 전문가들과 마을공동체 사업가 등이 참여해 현재 다양한 공동체 사업의 현황과 미래 과제를 점검하는 장을 열었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시민의 자발적 의지로 만들고 있는 다양한 공동체 구성원과 활동가들의 경험을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중간 지원조직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던 것입니다.마을공동체 운영의 교과서로 불리는 성미산마을은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 나즈막한 해발 66m 성미산 일대에 위치한 서울의 대표적인 마을공동체입니다.1994년 지역주민들이 모여 공동육아 방식을 모색하며 을 설립, 공동육아협동조합으로부터 출발한 성미산마을공동체가 점차 발전을 거듭하면서 교육, 주거,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공동 생활을 하는 공동체촌으로 발전했습니다.(* 이후 날으는 어린이집, 참나무 어린이집 추가 설립)2001년 성미산 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환경 파괴를 우려한 주민들의 반대 활동을 시작으로 2003년에는 성미산 일대에 아파트를 지으려는 계획을 무산시켰으며, 서울 상수도사업본부의 배수지 공사위협으로부터 성미산을 지켜내는 활동들이 외부에 알려지면서 성미산을 지키는 주민들, 성미산지킴이들이 사는 성미산 마을 이라는 명칭이 생겨났습니다.특히 2004년 9월에는 마을이 학교고, 학교가 마을이다라는 모토로 생태주의 철학을 가르치는 국내 첫 12년제 성미산학교(대안학교)를 세웠고, 마포두레생협을 설립, 최초의 마을기업이라 할 수 있는 유기농 반찬가게인 동네부엌(2001)을 비롯해, 라디오 방송(마포 FM), 카센터, 차병원협동조합 등 다양한 커뮤니티가 생겨났습니다.성미산마을에는 현재 인문학 독서클럽, 연극. 사진 동아리, 성미산합창단 등 다양한 문화 소그룹이 지역민들의 주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미산마을에서는 두레생활협동조합을 통해 식음료 먹거리를 공유 판매할 뿐만 아니라 두루라는 이름의 마을 공용 화폐를 사용합니다.생협과 마을 카페 등에서 두루를 사용하고, 노동을 제공하고 제공받을 때도 두루의 사용이 가능합니다.뿐만 아니라 카페, 식당, 극장, 방과 후 어린이집 등 공동체가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 만들어집니다.레 생활협동조합은 친환경 유기농 식품을 판매하며, 판매하는 상품의 공급은 중간 유통과정을 거치지않고 농촌과의 직거래를 통해 진행하고 있습니다.성미산마을은 도시 공동체의 대안, 마을공동체의 우수사례로 알려지면서 전국의 마을공동체 롤 모델로 평가받으며 신문과 방송에도 여러차례 소개되었고 성미산마을과 관련된 책과 논문도 있을 정도로, 동네, 로컬, 공동체 등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친숙한 이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