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세병관
category: 역사적 장소, 관광 명소
address: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 62-1
Phone: +82 55-645-3805
worktime:
address: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 62-1
Phone: +82 55-645-3805
worktime:
낮 | 시간 |
---|---|
월요일 | 오전 9:00~오후 6:00 |
화요일 | 오전 9:00~오후 6:00 |
수요일 | 오전 9:00~오후 6:00 |
목요일 | 오전 9:00~오후 6:00 |
금요일 | 오전 9:00~오후 6:00 |
토요일 | 24시간 영업 |
일요일 | 오전 9:00~오후 6:00 |
site: https://www.utour.go.kr/01198/01965/01202.web?idx=1634&amode=view&
rayting: 4.3
services: 접근성: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아동: 어린이 환영,
rayting: 4.3
services: 접근성: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아동: 어린이 환영,
이름: �***
날짜: 2024-04-14 14:21:43
코멘트: 4
코멘트: 역사공부
이름: J**** K**
날짜: 2024-04-09 20:01:12
코멘트: 5
코멘트: 이순신장군의 족적을 느낄수있는 아주 훌륭한곳이예요
더 많은 댓글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름: �*
날짜: 2024-01-01 04:25:47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재1월 1일에 방문했는 데 사람이 적어서 여유롭게 산책이 가능했습니다!다만 내부 관리가 조금 미흡한 점이 조금 아쉽네요
이름: D*** H**** K**
날짜: 2023-11-22 01:40:51
코멘트: 5
코멘트: 꼭 가보세요강추합니다
이름: �**
날짜: 2023-11-01 10:08:46
코멘트: 5
코멘트: 공사중이어유 그래도 이순신장군의 흔적이 있으니 별다섯개^^
이름: D****** K**
날짜: 2023-09-17 04:11:29
코멘트: 5
코멘트: 우연히 야경이 너무 아름다운 곳을 발견한곳.시간이 없어서 몇장 없지만 추후 재 방문예정
이름: �*
날짜: 2023-08-02 14:38:59
코멘트: 4
코멘트: 국보 제305호인 세병관은 둘러보기 좋았다. 꽤나 넓고, 역사에 대한 설명도 잘 돼 있었다.
이름: �**
날짜: 2023-06-17 17:03:31
코멘트: 5
코멘트: 조선 수군의 역사를 알 수 있는 곳.사진 맛집.세병관안에 들어가면 시원한 바람을 느끼며 과거의 선조들이되뇌어짐.
이름: a**** K**
날짜: 2023-05-28 07:29:16
코멘트: 5
코멘트: 수군통제영 안에 있어요. 조선시대 바닥이 있는 건물중 가장 넓은 건물이라고 해요. 국보인데도 신발 벗고 들어가서 앉을 수 있었어요. 덕분에 선선한 바람을 쐬며 쉬어갈 수 있었어요. 하늘의 은하수를 가져다 피 묻은 병장기를 닦아낸다’라는 뜻이랍니다. 군사시설에 어울리지 않는 낭만이지요! 입장료가 비싸지만 통영 관광지 들렀다 가면 20% 할인도 해주나봐요. 저는 가보시길 추천해요~~
이름: �** (***
날짜: 2023-05-02 15:00:42
코멘트: 4
코멘트: 전적지 탐방 추천해요
이름: �**
날짜: 2023-04-04 07:29:53
코멘트: 5
코멘트: 통영 시내가 한눈에.. 조용하네요
이름: �****
날짜: 2023-03-29 13:24:40
코멘트: 5
코멘트: 매월 마지막 수요일은 입장료가없다네요
이름: �**
날짜: 2023-01-31 06:30:23
코멘트: 5
코멘트: 500년 역사가 그반증
이름: D* l***
날짜: 2023-01-26 07:22:57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적 가치가 있는. 곳가볍게 둘러보기 적당한크기관람료 삼천원?
이름: �**
날짜: 2023-01-25 07:41:24
코멘트: 4
코멘트: 역사가 살아 있다
이름: A*** P***
날짜: 2022-12-10 08:58:04
코멘트: 5
코멘트: 1603년 충무공 이순신의 전공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워진 건물로 완성된 이후에는 삼도수군 통제사영의 건물로 사용되었다. 아이들과 역사도 배우고 산책하기 좋은 곳 입니다. 통영을 여행한다면 방문해 보세요.
이름: H**** E
날짜: 2022-11-09 15:18:57
코멘트: 5
코멘트: 통영에서 역사적인 가치 있는 건물입니다.도시 한가운데 있어도 아름다운 한옥 모습은 멀리서도 잘 보입니다.세병관 건물이랑 그때 사용했던 여러 가옥도 많아 한국의 색이 아름답게 보이는 곳입니다.통영 오셨다면 꼭 들려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아요.입장료는 3,000원 정도 합니다.
이름: s******* K**
날짜: 2022-10-30 23:06:22
코멘트: 4
코멘트: 생각보다 규모가 있어 놀랐습니다. 국보로 지정되어 있었고, 아직 복원 중인 부분도 있었지만 누각도 좋고 설명도 잘 되어있어서 통영에 왔다면 한 번 둘러볼만 합니다.
이름: i* s
날짜: 2022-10-24 11:22:48
코멘트: 5
코멘트: 통영의 의미를 알게된 곳.
이름: �*
날짜: 2022-10-23 13:51:37
코멘트: 5
코멘트: 아직 공사중인 곳이 부분부분 있음세병관은 넓고 웅장함복원한 건축물들은 그냥 둘러보기 괜찮음
이름: �***
날짜: 2022-08-27 11:33:39
코멘트: 5
코멘트: 통영관광의 1번지는 세병관입니다.통영이라는 네이밍이 삼도수군통제영으로부터 왔고, 그 통제영의 중심이 세병관이기때문입니다.당시의 규모는 아니지만 일부 복원되어서 제법 볼거리가 있어요. 여황산 자락아래 통영 앞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뷰도 멋집니다.무기를 은하수로 씻는다는 세병관은 진정 평화를 염원하던 우리 선조들의 소망이었으며 우리의 소망이기도 합니다.
이름: �**
날짜: 2022-08-25 07:33:23
코멘트: 5
코멘트: 통영희 혼을 느낄수있는장소!문화해설사님의 설명과 함께 감상하니 감동이 2배입니다.다음에 날 선선할때오면 뒤쪽에 조성된 길도 돌면서 통영전체 조망을 보고싶네요
이름: g**** l**
날짜: 2022-08-18 23:22:40
코멘트: 4
코멘트: 세병관 가시면 붓글씨도 써 주시고 해설해 주시는 어르신 계십니다. 주기적으로 역사 설명해 주시고 절하는 예절도 설명 주시는데 꼭 들으세요. 참 유익한 말씀 많이 주십니다. 그 밖에 각 건물별 별도로 설치된 해설판이 적어 아쉽긴 했습니다. 세병관 앞 지상 주차장에 자리가 없으면 맞은편 건물 지하주차장으로 안내해 주십니다. 행사 기간에는 저녁에 다양한 재밋거리가 펼쳐지는 듯 합니다. 일정표 사진 드렸으니 참고하세요.
이름: �****
날짜: 2022-08-06 11:56:40
코멘트: 4
코멘트: 엄청 커요.
이름: �*
날짜: 2022-07-30 06:29:28
코멘트: 5
코멘트: 국보305호인 삼군수군통제사로 무더운 날씨이지만 한바퀴 다 돌아봤네요 12공방에서 갓이나 부채등 필요한 생필품 등도 만들고 동전만드는 곳도 있었습니다 건물이 크기가 압도적이네요세병관에서 해설사님이 해설하는것을 들었고 많은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이름: �**
날짜: 2022-06-28 13:23:07
코멘트: 5
코멘트: 체험도하고 좋았어요^^ 아이데리고 꼭 한번 가보길 추천해요
이름: �**
날짜: 2022-06-01 02:25:37
코멘트: 4
코멘트: 통영 배 타고 멍 때려도 좋고 이곳에서 멍 때려도 좋고...근데 언제부터 3000 한 달도 안되었는데 그때 1000... 내가 잘못 알았나 ㅋ
이름: g****** v
날짜: 2022-05-31 06:30:58
코멘트: 5
코멘트: 넓고 크다. 단층 목조 건물이지만 압도적인 사이즈다만 조금 더 관리하고 주변을 꾸몄으면 한다.
이름: �**
날짜: 2022-05-11 11:15:14
코멘트: 5
코멘트: 통영시민은 무료입장이네요 건너편 VR존도 좋았어요
이름: �*
날짜: 2022-03-31 09:30:02
코멘트: 4
코멘트: 삼도수군통제영을 처음방문 했는데 통영을간다면 한번쯤꼭 가봐야할장소 이다
이름: C**** L**
날짜: 2022-03-28 06:12:53
코멘트: 5
코멘트: 건물의 규모에 압도됨. 강력한 존재감. 그리고 잘 복원된 부속 건물들이 많이 있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이곳 저곳을 둘러보게 됨. 통영에 온다면 반드시 방문 해야할 장소
이름: �**
날짜: 2022-02-28 07:38:02
코멘트: 5
코멘트: 주변에 동피랑 서피랑 충렬사 중앙시장 등 볼거리가 많아서 함께 방문해서 즐기시길 바랍니다
이름: �*
날짜: 2022-02-24 07:15:04
코멘트: 5
코멘트: 이순신 장군의 국가를 위한 구국정신을 지금 정치인 들도 배워야 할거예요
이름: �**
날짜: 2022-02-15 05:17:44
코멘트: 5
코멘트: 통영 여행시 꼭 가봐야하는 역사 관광지. 문화 해설 필수
이름: �**
날짜: 2022-02-12 07:52:29
코멘트: 5
코멘트: 삼도수군통제사의 막강한 권력을 느낏 수 있다.
이름: �**
날짜: 2022-01-30 03:50:00
코멘트: 5
코멘트: 애국심이 불타오르는 느낌을 받았어요!
이름: �**
날짜: 2022-01-24 13:54:40
코멘트: 5
코멘트: 야간에도 이쁜 세병관이쥬안에는 못들어 가지만 동피랑에서 봐도 이뻐요
이름: �**
날짜: 2022-01-22 07:21:02
코멘트: 5
코멘트: 해설사님의 상세하고 재미있는 해설로 몰랐던 사실도 알게되어 관람이 더 즐거웠습니다.세병관은 신발벗고 올라가서 앉아보거나 누워볼수 있어 좋았어요 깨끗하고 잘 관리되어 있어 좋았어요꼭 해설사님의 도움을 받아 관람해보셔요 보이지 않던것들이 보인답니다.다른분들을 해설하시는 중간에 끼여들어 도둑강의(?) 들었구요그렇게 하셔도 되요 다만 시간을 넉넉히 해서 움직이시길 추천드립니다
이름: �**
날짜: 2022-01-19 04:26:31
코멘트: 4
코멘트: 역사 공부하기에는 좋은 장소입니다
이름: �**
날짜: 2022-01-18 20:32:37
코멘트: 5
코멘트: 통영영의 객사로 제137대 통제사 서유대가 쓴 현판과 목조단층건물이 압도적이다세병관 (은하수를 끌어와 병기를 씻는다) ^^마루에 잠시 앉아 있으니 겨울이라 믿기지 않은 따스함에 미소가 저절로 나온다.통영이 좋아진다. 이사와서 살아볼까^^
이름: G** V*****
날짜: 2022-01-17 10:34:07
코멘트: 5
코멘트: 가을에 가볍게 산책하기 좋습니다. 멀리 시원한 통영바다도 보이구요.
이름: �*
날짜: 2022-01-07 23:23:09
코멘트: 5
코멘트: 통영시내와 바다 한눈에
이름: �********
날짜: 2021-12-22 12:03:55
코멘트: 5
코멘트: 미리 공부하고 다녀오세요가족분들과 같이 다녀오시길 추천합니다
이름: �** (*** �****
날짜: 2021-12-10 05:06:57
코멘트: 5
코멘트: 이벤트에 참여하다보니 더 자세하게 보고 생각하게 되었구요~~ 이벤트 상품으로 중앙시장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까지 받아서 맛있누 점심도 먹었네요~^^
이름: �**
날짜: 2021-11-21 11:18:10
코멘트: 5
코멘트: 오랜만에 통영유적지를 와보고선 여러 부속시설이 복원되어 볼거리랑 가을의 청명한 날씨에 매료.
이름: �** �*
날짜: 2021-10-16 01:53:37
코멘트: 5
코멘트: 조선 수군의 역사를 알수있는 곳입니다.
이름: P**** J****
날짜: 2021-10-09 12:07:12
코멘트: 5
코멘트: 국보인 세병관에서 이순신 장군님의 기상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괸리도 깨끗하게 질 되고 있습니다
이름: �**
날짜: 2021-10-04 23:42:39
코멘트: 4
코멘트: 입장료가 약간 비싼 느낌이지만(성인 3000원 어린이 1000원)세병관의 넓은 마루를 보며 여기에서 풍류를 즐겼을 수군들이 되는 상상을 해볼수 있는 시간
이름: �**
날짜: 2021-10-03 05:24:37
코멘트: 5
코멘트: 크기도 웅장하고, 통영시내 한눈에 내려다 보여서 좋아요, 잘 관리되고 있는듯
이름: �**
날짜: 2021-10-02 12:18:09
코멘트: 5
코멘트: 정말 소중한 장소가 잘 보존되어 있어 좋았습니다
이름: �**
날짜: 2021-08-29 07:20:29
코멘트: 4
코멘트: 관람코스가 잘 설명되면 좋을것같아요
이름: �*
날짜: 2021-08-04 05:01:08
코멘트: 5
코멘트: 통영 구도심을 한눈에 바라보기에 이 곳만큼 좋은 곳은 없는 것 같네요.
이름: Y* B
날짜: 2021-08-03 02:42:36
코멘트: 4
코멘트: 역사적 교육 및 힐링 장소로 적합니다.
이름: H** K**
날짜: 2021-07-09 23:19:41
코멘트: 5
코멘트: 전쟁을 진두지휘하던 작전 총본부. 삼도수군통제영. 이곳의 1대 통제사가 이순신장군이다. 그를 기리기 위한 충렬사 사당이 근처에 있다.통영이 통제영에서 온 말이라는 걸 여기 와서야 처음 알았다. 지과문. 창을 내리면 좋겠다. 곧 전쟁을 그만하고 싶다는 당시 무인들의 고단함과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이 느껴지는 이름이다. 빛바랜 문의 단청이 그런 무인들의 고뇌를 보여주는 것 같다.정상의 세병관에서는 뜨거운 여름이지만 시원한 바람이 분다. 그렇게 큰 현판은 처음이었다.세병. 병기를 씻는다. 역시나 전쟁을 멈추고 싶은 염원이 담겨있다.한양의 왕을 향해 예를 갖추었다는 전패단과 공이 있는 무인들의 이름이 새겨진 편액이 죽 걸려있다.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더니.. 인상깊었다.
이름: �**
날짜: 2021-06-29 12:00:02
코멘트: 4
코멘트: 이순신 장군이 돌아가신 후 만든 곳임.
이름: s******* L**
날짜: 2021-06-18 22:00:38
코멘트: 5
코멘트: 코로나라 체험할 수 있는게 없어 아쉬웠어요 둘러보고만 왔네요 주차장이 가까워요 중앙시장 근처입니다 #통영이순신학교
이름: �****
날짜: 2021-06-17 05:00:28
코멘트: 5
코멘트: 오늘날씨도흐리고.마음도우울하여.세병관방문을하엿어요.방문객은 하나둘씩오긴하여도 생각보다는많이안오는편이더라구요코로나여파및평일이라그런것같아보였어요.이곳저곳다녀보니주변깨끗하고 공기좋고통영항.남망산공원.케이블카항남동일대가 한눈에보이더라구요..역사유물이라고.대장장간과돌비석.등이눈에띠고 아이들학습장소로 좋을것같은느낌이었어요저는혼자서 사색에잠겨걸어보니 조용한분위참좋았어요.입장료는 어른3천원요즘계절에는 0.9시30분에개방하여18시까지관람할수있구요.한번쯤 역사탐방으로가볼만한곳이기도하더라구요~^^
이름: C***** C****
날짜: 2021-06-14 07:58:59
코멘트: 5
코멘트: 통영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는 곳이다. 통영이란 이름이 삼도수군통제영의 준말로 왜란 이후 1600년 조선시대에 지어진 곳으로 오늘날의 해군 기지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300년 동안 유지되던 이곳은 일제강점기 때 일제에 파괴되는 등 세병관만이 남아 학교로 사용되는 일 등이 있었지만, 통영의 근본과도 같은 이곳을 복원하는 사업이 꾸준히 진행중이라 한다.
이름: m********* p***
날짜: 2021-06-03 09:38:28
코멘트: 5
코멘트: 근엄하고 웅장하고 세심함이 돋보이는 선조들 이순신 장군의 뛰어난 지략을 만날 수있는 국보의 위엄
이름: �* �*****
날짜: 2021-06-02 22:58:51
코멘트: 5
코멘트: 최고
이름: �**
날짜: 2021-05-24 23:54:11
코멘트: 4
코멘트: 저는 너무 좋았는데 볼거리가 많거나 한것은 아니고 문화재 소방관 시원하고 큰규모의 마루 자체가 좋네요
이름: M****** R**
날짜: 2021-05-23 08:05:19
코멘트: 5
코멘트: 삼도수군통제영.이순신과 다른 통제사들이 기거했던 이곳은 사람이 많지 않아 좋았어요.아이가 있으신 분은 유모차 사용이 가능하나 일부 층층은 계단이라 힘드실수 있어요.현대 건물이 올라오기 전엔 통영 전체를 내려다볼 수 있었을 거 같은 뷰가 있습니다.
이름: �**
날짜: 2021-05-19 14:47:47
코멘트: 5
코멘트: 바람이 불면 너무 시원합니다. 자주 들리고 싶은 곳
이름: �**
날짜: 2021-05-19 11:18:53
코멘트: 4
코멘트: 오래된 관청에서 누워서 쉬다왔습니다.오늘같은날 정말 시원 하더군요
이름: �**
날짜: 2021-04-09 03:01:13
코멘트: 5
코멘트: 임진왜란 역사적인 곳입니다
이름: �***
날짜: 2021-03-29 16:42:08
코멘트: 4
코멘트: 이게 남아있는 조선시대 목조식 건축물 중 가장 큰 것이었나?? 여튼 역사적 의미가 있는 거라 들음
이름: H**
날짜: 2021-03-15 22:46:15
코멘트: 4
코멘트: 여러 건물들을 잘 복원해 놓고 다른 문화제들과 다르게 신발을 벗고 올라가 볼수 있어서 아이들이 체험하기에 정말 좋은곳 입니다.
이름: T***** t* t** w**** F**
날짜: 2021-03-04 09:38:35
코멘트: 5
코멘트: 조선시대를 되새길수 있는 곳입니다
이름: �**
날짜: 2021-03-02 21:05:07
코멘트: 5
코멘트: 임진왜란시 이순신장군의 삼도수군의총본영으로 그 가치가 무구함.
이름: Y**** c*** S***
날짜: 2021-02-27 12:27:59
코멘트: 4
코멘트: 전망이 좋아요
이름: �**
날짜: 2021-02-23 06:56:06
코멘트: 5
코멘트: 이순신사랑하는아즐덕에구경잘했어요 좋아요
이름: �**
날짜: 2021-02-13 09:07:32
코멘트: 4
코멘트: 넓어요. 주변 관광지, 먹거리 많아요.
이름: �**
날짜: 2021-02-06 10:50:38
코멘트: 5
코멘트: 한번 둘러보기 좋아요~
이름: C**** J***
날짜: 2021-02-02 12:24:42
코멘트: 5
코멘트: 사진찍기도 좋고 장소도 좋음
이름: s****** k**
날짜: 2021-01-30 06:56:19
코멘트: 5
코멘트: 전망좋고 바람이 살랑사랑 부니데이트 하기좋고 산책하면서 구경하기 좋아요아이들이 있으면 역사공부에도 도움이 될듯.
이름: �**
날짜: 2021-01-17 13:11:27
코멘트: 5
코멘트: 볼거리가 많고 역사를 되새길 기회네요
이름: �**
날짜: 2021-01-03 01:27:49
코멘트: 4
코멘트: 입장료가 3000원 있어요입장료 대비 볼것이 많지 않아요
이름: �**
날짜: 2020-11-22 03:56:52
코멘트: 5
코멘트: 아주 장소에 대한 자세한 정보을주어서 역사적 배우이 좋았어요
이름: �**
날짜: 2020-10-29 14:35:38
코멘트: 4
코멘트: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조선후기 삼도수군통제사영의 관청. 국보305호.
이름: �**
날짜: 2020-10-26 09:26:24
코멘트: 5
코멘트: 통영 앞 바다가 시원하게 내려다 보이는 풍광이 멋진곳..야경은 당연히 더 좋다..^^
이름: �**
날짜: 2020-10-22 09:37:24
코멘트: 4
코멘트: 천천히 다니기 좋은 곳.책 한 권 들고가서 세병관에 앉아 읽어도 좋겠다.생각보다 굉장히 넓어서 놀라운 곳.입장료가 전혀 아깝지 않다.놀다보니 하루가 다 저물었다.
이름: �**
날짜: 2020-10-22 03:50:33
코멘트: 5
코멘트: 이순신 장군의 유훈 이 살아있는찾아 볼 만한역사 유적 입니다.
이름: �**
날짜: 2020-10-21 00:55:19
코멘트: 4
코멘트: 코로나19로 인한 내부방문은 어려우나 시원한 바람이 좋은 잔디가 괜찮음
이름: �**
날짜: 2020-10-18 22:55:06
코멘트: 5
코멘트: 과거가 멀게 느껴지지 않는역사의 장으로우리가 과거를 공부하고 보존하여미래에도 가치있는 미래유산이다.
이름: �**
날짜: 2020-10-15 00:36:26
코멘트: 4
코멘트: 대형 객사이며 폭을 빋치는 기둥이 5개나 된다
이름: J********
날짜: 2020-10-10 06:53:33
코멘트: 5
코멘트: 기대없이 왔다가 멋드러진 곳을 잘 둘러보고 갑니다!
이름: A*** L**
날짜: 2020-10-09 09:26:51
코멘트: 4
코멘트: 웅장한 건축물에 조망도 좋은 것 같습니다.
이름: �**
날짜: 2020-09-25 10:33:38
코멘트: 5
코멘트: 평일 오후에 혼여로 갔는데 넓은 누각같은거랑 너무 멋졌음 사람이 거의없어서 의상입는거 여러개 다 입어보고 혼자 삼각대들고 인생샷 많이 건졌네요
이름: �*******
날짜: 2020-09-17 07:48:21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의 현장, 통영가면 꼭 들러봐야죠
이름: 0* (*********
날짜: 2020-08-07 03:51:24
코멘트: 5
코멘트: 이순신 장군의 위대함을 다시금 느낄 수 있는 기회 였습니다.. 감사합니다..다만 유적지 관리가 너무 허술 했습니다... 그게 아쉬웠습니다.
이름: M****** P***
날짜: 2020-08-05 01:59:50
코멘트: 4
코멘트: 역사가 숨 쉬고 있는 공간이라 좋았습니다.
이름: #******
날짜: 2020-07-23 05:21:47
코멘트: 5
코멘트: 경남 통영 세병관입니다. 2020년 7월에 여름 휴가로 다녀온 곳입니다. 이곳에서 통제사가 전체 수군을 지휘한 곳이고 작전을 계획하는 곳입니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이 장소가 아니었다가 왜란이 종결 된 후 현재 위치로 이동을 했습니다. 300년동안 197명의 통제사가 이곳을 거쳐갔습니다. 그 중에 연임을 하신 분도 계시고 일찍 끝내신 분도 있습니다. 세병관 내부는 훤히 열려있어서 누구나 신을 벗고 들어갈 수 있습니다. 마루의 나무가 울퉁 불퉁해서 해설사에게 물어보니 지나간 세월동안 계속해서 수리를 해서 그렇다고 합니다. 지금은 그당시 사용하던 나무가 있지 않아서 크기도 제각가입니다. 일제 강점기때 세병관 주변의 모든 기와 집들은 부셨지만 이곳 세병관은 학교로 사용 했다고 합니다. 사진에 길게 복도 처럼 되 있는곳을 당시 실제로 복도로 사용했고 나무 기둥들 마다 못을 박은 자국이 있는데 일제가 칸막이를 치는데 사용해서 그런거라고 합니다.앞 마당이 넓어서 군사 훈련 하기에 좋습니다. 그런데 진짜 신기 한것은 이곳에 서면 앞 바다의 상황이 한 눈에 들어오지만 세병관 밖에서는 세병관 내부가 보이지 않습니다. 외부에서 아무리 쳐다봐도 보이지 않는 다는 겁니다. 조선 시대에는 세병관 입구까지 바다 였다고 합니다. 일제 강점기때 바다를 메워서 지금은 바다 까지 한참을 걸어야 하지만 당시에는 바로 앞이 바다였기에 해군을 지휘 하기에 유리했다고 합니다. 잘 보존 되어 있고 여러가지 유물들이 전시 되어 있어서 아이들에게 역사 교육을 하기에 아주 좋은 곳입니다.
이름: j* J
날짜: 2020-06-27 13:28:40
코멘트: 5
코멘트: 통영 시내가 내려다 보입니다. 여름에 시원하니 좋습니다
이름: �**
날짜: 2020-06-26 11:05:28
코멘트: 5
코멘트: 입구에 있는 ‘벅수’ 입니다^^장승을 통영 사람들은 벅수라 부릅니다
이름: m****** s***
날짜: 2020-05-24 06:12:57
코멘트: 5
코멘트: 역사는 잘 모르긴 하지만, 조선시대 단일 목조건물로 이만한 크기는 찾아보기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웅장함과 개방감이 시야에 가득찰 때 같이 맞이하는 시원한 바람은 통영의 또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이름: �**
날짜: 2020-02-09 16:38:23
코멘트: 5
코멘트: 일본애들이 절대 못쳐들어오도록 방비를 철저히...
이름: �**
날짜: 2020-01-18 04:24:47
코멘트: 5
코멘트: 국보인 본관 건물은 로마의 신전 건물을 보는듯 웅장함
이름: C****** R**
날짜: 2020-01-05 15:05:10
코멘트: 5
코멘트: 문화해설사님의 설명이 매우 흥미롭고 유익했습니다.
이름: �**
날짜: 2020-01-05 08:13:44
코멘트: 5
코멘트: 너무 좋았습니다.아이들에게 유익해요
이름: C****** H****
날짜: 2019-12-18 06:02:52
코멘트: 5
코멘트: 국보 제305호 직접 체험해 보시면 그 웅장함과 400년 전(1603년) 건립된 목조 건물의 위용을 경험할 수 있고 그 주위 삼도수군통제영을 같이 돌아 보시면 더욱 좋아요!통영세병관을 자세히 설명한 자료를 보니 1603년 선조 36년에 이순신 장군의 전공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으며 후일 수군삼도통제영의 건물로 사용하였다.국보 제305호로 정면 9칸 측면 5칸의 팔각지붕 건물입니다. 장방형 평면으로 모든 칸에는 창호나 벽체를 만들지 않고 통간으로 개방되어 있다. 다만 우물 마루로 된 평면바닥의 중앙 일부를 단 한울림으로 써 위계성을 주고 있다. 돌아보면 여러 부속건물과 전주이씨 비석을 모아 둔 곳 각종 전쟁 물자와 생활 용품을 만들던 공방과 기구들이 보존되어 있고 투호등 각종 놀이 기구와 놀이 공간도 있어 돌아보면 여러가지 옛 문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입구의 공용주차장을 이용하면 저렴한 주차비로 시간 구애 받지않고 주차할 수 있습니다. 주위의 통영중앙재래시장과 동피랑도 가까이 있어 도보로 관광할 수 있고 재래시장 꿀빵 맛도 보시길ᆢ여유되시면 활어시장에서 싱싱한 회 맛도 보시길ᆢ추천합니다.
이름: �**
날짜: 2019-12-08 04:54:05
코멘트: 5
코멘트: 일제가 임진왜란때 해군 패전의 복수심에 삼도수군통제영 건물을 모두 없앴다고 하네요. 유일하게 세병관만 남겨 국민학교 건물로 썼다네요. 전쟁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 은하수 물로 병장기를 씻어서 영원히 안 쓰기를 바라는 평화의 마음이 담겼다네요
이름: �**
날짜: 2019-11-24 11:04:32
코멘트: 5
코멘트: 세병관의 규모가 무엇보다 인상적이었습니다. 조선시대 가장 큰 규모의 목조 건물의 위용!! 통영 여행 중 꼭 가 봐야 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름: �**
날짜: 2019-11-19 02:29:32
코멘트: 5
코멘트: 대한민국의 국보. 체험할 거리도 많고, 신발 벗고 들어가서 직접 느껴볼 수 있어 좋다.
이름: �**
날짜: 2019-11-11 05:02:46
코멘트: 5
코멘트: 삼도수군통제영이에요^^ 역사적인 장소죠!!
이름: �**
날짜: 2019-11-09 05:33:10
코멘트: 5
코멘트: 지역사회기업 통영이랑운영자님과 함께 세병관과 공방체험기회가 있어 다녀왔습니다. 세병관이 400여년 동안 그 자리를 지켜왔고. 국보305호라는 이름보다 더 가치있는 이유를 잘 알게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어려운 시절(일제강점기,6.25전쟁) 묵묵히 견디어 내고, 지금도 그 위용이 휴대폰 카메라에 담기 어려울 정도네요. 모두 한컷에 담으려고 계속 뒷걸음질 치다 한컷에 겨우 담았습니다.지붕의 낙숫물로 홈이 패었다는 지점 설명을 들을 땐 깜짝 놀라기도 했어요.사진 첨부합니다.
이름: �**
날짜: 2019-11-01 03:54:26
코멘트: 5
코멘트: 넓직한 건물에 바다가 보이는 이순신장군의 숨결이 느껴지는 목조건물
이름: �**
날짜: 2019-10-17 12:15:02
코멘트: 4
코멘트: 생각보다 보다 아주 넓은 건물이네요
이름: Y****** C***
날짜: 2019-10-15 11:56:33
코멘트: 5
코멘트: 말이 필요없는 통영의 정체성을 알리는 문화재
이름: �**
날짜: 2019-10-15 02:57:07
코멘트: 5
코멘트: 우리나라 국보급 문화재로써 항상 관람과 사랑을 하여야합니다
이름: K*** W*****
날짜: 2019-10-09 10:39:50
코멘트: 5
코멘트: 주차장에 차 세우고 올라가면 여러 볼거리들이 있음. 공영주차장이라 부담스럽지 않고 가끔 행사 때는 주차비가 없으니 부담없이 주차할 수있고 주변 중앙시장, 강구안 등을 여행할 때도 여기 주차를 하면 멀지 않고 편함.
이름: �**
날짜: 2019-10-04 10:39:15
코멘트: 4
코멘트: 역사적인 의미를 차치하고라도 풍광이 좋고 바람이 시원한 곳입니다~ 단, 방문했을때 행사준비를 하느라 분주해서 조용히 돌아보지못해 아쉽네요...
이름: �**
날짜: 2019-10-04 07:20:24
코멘트: 5
코멘트: 통영 통제영이랑 세병관이랑 문화재축제때문에 멋있게 꾸며놨더라구여 때맞춰 잘다녀왔습니다
이름: s**** E
날짜: 2019-09-03 17:51:03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입니다 통영에 중요한
이름: S***** Y***
날짜: 2019-08-28 09:55:48
코멘트: 4
코멘트: 세병관에서 조선시대 마루를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이름: �**
날짜: 2019-08-13 13:20:40
코멘트: 5
코멘트: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이며 앞으로 내다보이는 이 풍경은 아름답다 못해 시원하다. 굳이 보러 올 이유는 없지만 통영에 오게 될 이유가 있다면 꼭 한번쯤은 들러보셨으면 한다.
이름: K**** J*** K**
날짜: 2019-08-07 12:19:25
코멘트: 4
코멘트: 넘 더워서 밤에 다녀오느라 바깥만 보고 왔어요. 조선시대 수군본부에 해당하는 곳인데 복원한 것입니다. 주차장 있으니까 편히 구경하시고 근처 충렬사도 다녀오세요.
이름: �********
날짜: 2019-08-04 18:52:22
코멘트: 5
코멘트: 세병관에 올라서서 보이는 전망도 좋고 바람도 좋음
이름: �*
날짜: 2019-08-02 01:46:32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의 장소는 항상 마음이 좋습니다!
이름: s*** I* k**
날짜: 2019-07-31 13:28:58
코멘트: 4
코멘트: 통영이 조선수군의 사령부라는걸 알수 있는곳.
이름: �**
날짜: 2019-07-31 05:10:38
코멘트: 5
코멘트: 본건물에 들어갈수도 있고 명상하시는 어르신도 계시고,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도 있어서 참 좋은 느낌을 받았습니다바람도 솔솔불고 앉아서 땀 식히면서 편안하게 쉬었다 갑니다.
이름: �**
날짜: 2019-07-29 06:30:26
코멘트: 5
코멘트: 조선시대 삼도수군통제 하던곳
이름: �**
날짜: 2019-07-25 01:06:40
코멘트: 5
코멘트: 뷰도 좋지만 여름에 시원한 바람을 느낄수 있는 곳 입니다.
이름: M* K**
날짜: 2019-07-10 03:52:22
코멘트: 5
코멘트: 점점 유적지가 아닌 관광지로 변경되고 있는 중
이름: �**
날짜: 2019-07-04 13:27:20
코멘트: 5
코멘트: 통제영의 중심 건물에 기대 볼 수 있는건 영광이다
이름: k**** C
날짜: 2019-06-25 06:24:50
코멘트: 4
코멘트: 통제영의 준말. 통영. 임진왜란 때 부터 세워진 삼도통합 해군 사령부. 생각보가 크고 뷰가 좋다. 문화재 설명사도 있다!!
이름: �**
날짜: 2019-06-23 06:44:46
코멘트: 4
코멘트: 전경이 예쁜곳. 역사적인 깊이를 더하는곳.
이름: �*****
날짜: 2019-06-19 10:19:09
코멘트: 5
코멘트: 엿날시대에 옷및 활, 목검을 할수있슴
이름: �**
날짜: 2019-06-16 00:33:08
코멘트: 5
코멘트: 날씨도좋고 신발벗고 세병관에 앉아서 바람도쐬고
이름: �**
날짜: 2019-06-13 03:23:29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와 군영공간 그리고 시원함 전경을 한번에
이름: �**
날짜: 2019-06-12 09:32:42
코멘트: 5
코멘트: 옛날옷입기부터 세병관기둥갯수세보며 선조들의 생활을 잘엿볼수있는곳이였어요!!꾀 넓으네요!!
이름: �**
날짜: 2019-06-09 11:31:01
코멘트: 5
코멘트: 역사가 있는 건물 잘 가꾸어 놓은주변 시설들
이름: �**
날짜: 2019-06-09 09:07:36
코멘트: 4
코멘트: 해설사 설명 잘 하시고~~역사를 배우는 차원에서 한번쯤 방문하시길~~
이름: �** (****** K***
날짜: 2019-06-03 09:50:54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적으로 너무 소중한 공간입니다 해설사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름: �**
날짜: 2019-05-27 11:30:55
코멘트: 5
코멘트: 이순신장군을 아신다면 꼭 한번 가보세요
이름: �**
날짜: 2019-05-24 06:00:41
코멘트: 4
코멘트: 진짜 가고싶엇는데,오니깐 좋음 의상도 입을수있었어 좋았슴,다만 너무작아서 아까움
이름: K*
날짜: 2019-05-23 03:59:19
코멘트: 4
코멘트: 통제영 안에 있는 장소. 구체적인 설명이 없어서 아쉽습니다.
이름: �**
날짜: 2019-05-06 20:51:33
코멘트: 5
코멘트: 외침을 대비하여 삼도수군의 본영을 둔 곳이지만 병기를 닦는다 하여 세병관! 오히려 백성들이 편안하기를 바라는 이순신 장군의 혼이 느껴짐^^
이름: �**
날짜: 2019-05-06 03:18:16
코멘트: 5
코멘트: 무료체험행사가 많아서 좋았어요~^^
이름: �**
날짜: 2019-05-05 23:06:50
코멘트: 5
코멘트: 만들기,활쏘기,전통적인것-예)활쏘기)을 많이 채험 했다.
이름: w****** c***
날짜: 2019-05-05 11:59:26
코멘트: 5
코멘트: 국보로 지정된 세병관 한옥양식건물로서 엄청큰 규모다 광화문 궁궐 보다 살짝작지만 비슷한급인듯 신발을 벗고 들어가서 누워볼수도있다. 다른 작은 건물들이있고 규모가있다. 세병관 올라가는 길은 삼도수군통제영이있던곳이라 그런지 위엄이있다
이름: �*
날짜: 2019-05-05 05:59:05
코멘트: 5
코멘트: 넘 좋다얼을 느낄수 있다
이름: J**** K**
날짜: 2019-05-04 08:28:36
코멘트: 5
코멘트: 우리들에게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재 다시 한번 조상님들의 업적을 느낄수 있었고또한 세병관에서 통영 바다냄새를 맡으며 바다바람을 느끼면서 앉을수 있는 소중한 경험 이었습니다.
이름: �**
날짜: 2019-04-28 10:06:00
코멘트: 5
코멘트: 역사를 잘 고증해 놓은 세병관!^^ 좋습니다.
이름: K****
날짜: 2019-04-03 06:47:27
코멘트: 4
코멘트: 세병관 규모, 현판 크기가 아주 큽니다. 경회루와 비교하여 보면 더 재미있습니다. 통영의 중심을 잡아주는 장소입니다. 거북선 모형도 볼 수 있습니다.
이름: �**
날짜: 2019-03-31 02:21:43
코멘트: 4
코멘트: 윷점이 재미있었다 이른아침시간이라 조용해서 좋았다
이름: �**
날짜: 2019-03-12 12:22:07
코멘트: 4
코멘트: 애들데리고가서 좋은경험할수있어요
이름: �**
날짜: 2019-03-06 01:18:05
코멘트: 5
코멘트: 통영 관광시 꼭 들려야 하는곳 입니다.3월 1일 방문 하였는데 왜군과 싸운 이순신장군을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국보 제305호. 정면 9칸, 측면 6칸의 팔작지붕건물. 본래 1603년(선조 36)에 이순신(李舜臣)의 전공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으며, 후일 삼도수군통제사영(三道水軍統制使營)의 건물로 사용되었다.장방형 평면으로 모든 칸[間]에는 창호나 벽체를 만들지 않고, 통간(通間)으로 개방하였다. 다만, 우물마루로 된 평면바닥의 중앙 일부를 한 단 올림으로써 위계성(位階性)을 주고 있다.다듬은 돌로 바른층쌓기한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워, 기둥 윗몸은 횡방향으로 창방으로써 결구(結構)하였다. 공포(栱包)는 기둥 위에만 짜 올린 주심포식(柱心包式)이지만, 수법상 익공식(翼工式) 수법과 다포식(多包式) 수법이 많이 보인다.즉, 기둥 위에 주두(柱頭)를 놓고, 기둥 윗몸에서 앙서[仰舌] 하나를 내어 이 위에 소로[小累]를 놓아 외일출목(外一出目)에 오는 행공첨차(行工檐遮)를 받고 이 행공첨차와 주두를 제2제공(第二諸工)에 놓인 쇠서[牛舌]로 결구하고 있다.외출목도리(外出目道里)는 장여로 받치고, 이 장여를 행공첨차 위에 놓은 소로로써 받아, 결국 기둥에 힘을 전달하게 되어 있다. 기둥 사이에는 창방 위에 직접 화반(花盤)을 놓아 주심도리(柱心道里) 장여를 받치고 있다.가구(架構)는 11량가(十一樑架)로서, 대들보[大樑]를 양쪽 내고주(內高柱) 위에 걸고, 이 위에 동자주(童子柱)를 세워 중보[中樑]를, 다시 이 위에 동자주를 세워 종보[宗樑]를 걸었다. 종보 위에는 대공(臺工)을 세워 종도리(宗道里)를 받치고 있다. 그리고 내고주와 전면 평주(平柱) 사이에는 퇴보[退樑]를 걸었다.처마는 겹처마이고, 팔작기와지붕을 이루고 있으며, 용마루·합각마루·추녀마루는 회반죽을 발랐고, 네 추녀는 활주를 세워 떠받치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통영 세병관 [統營洗兵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름: s********* J****
날짜: 2019-03-04 10:16:34
코멘트: 4
코멘트: 세병관과 무료 의상체험이 인상적이었어요
이름: J***** J***
날짜: 2019-03-02 09:20:10
코멘트: 4
코멘트: 생각보다 넓고 경관이 장관!
이름: C******** R**
날짜: 2019-03-01 07:58:52
코멘트: 5
코멘트: 날씨도좋았고 깨끗하게 잘 정리되어 있서서 장군님 잘 만나고 갑니다
이름: �**
날짜: 2019-02-06 15:33:21
코멘트: 4
코멘트: 풍경이 좋고 주차도 수월하다역사적 의미를 알고 가면 더 좋을 것이고모르고 방문한다해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이름: �**
날짜: 2019-02-05 14:07:58
코멘트: 5
코멘트: 일제때 헐었던 곳들을 다시 재건하였습니다. 삼도수군통제영의 옛 위용을 느낄수 있습니다. 이벤트도 많이 하고 한산, 명량 등을 자세히 알 수 있도록 영상도 틀어주고 있습니다. 엽전발행, 공방들의 기능도 알 수 있구요, 정말 꼭 가보셔야 할 곳입니다. 케이블카 티켓 있으면 입장료 20% 할인됩니다.
이름: �**
날짜: 2019-01-20 06:21:37
코멘트: 5
코멘트: 이순신장군 병사의 무기를 세척하던곳 12공방을만들어 제작 보수를하던곳
이름: �**
날짜: 2019-01-12 22:31:40
코멘트: 5
코멘트: 건물에 웅장함
이름: �**
날짜: 2019-01-06 13:40:34
코멘트: 4
코멘트: 수군 통제용. 국보로 지정된 세병관. 12개의 공방
이름: C*** E** P***
날짜: 2019-01-05 23:04:29
코멘트: 4
코멘트: 5회 방문 중 복원후에는 처음으로 답사를 다녀 왔어요. 마침 비번이었지만 우리를 안내한 통영시의 문화관광해설사 (옥복주)의 충실한 해설도 있어서 아주 만족한 답사였으며, 복원도 잘 되었지만 세병관 주변환경도 잘 정비되어 있어서 참 좋았어요.
이름: �**
날짜: 2018-12-30 07:27:28
코멘트: 5
코멘트: 병기를 씻는 관이지만 전쟁이 없어서 병기를 씻어어면 하는 바램이라네여.국내 최대 현판.
이름: M**** M****
날짜: 2018-12-17 07:02:27
코멘트: 4
코멘트: 넓은부지 but 볼것은 작음
이름: �**
날짜: 2018-12-12 02:02:20
코멘트: 5
코멘트: 두보시에서 인용한 은하수를 가져와 병기를 씻는다는 곳이란 의미니 기개가 하늘 만큼 드높아질 듯.
이름: C*** �** c**** J*
날짜: 2018-12-07 01:19:03
코멘트: 5
코멘트: 해상의 중심지였던 곳 1시간 정도 둘러보기좋음
이름: �**
날짜: 2018-12-06 06:43:38
코멘트: 5
코멘트: 통영 방문시 역사탐방 및 체험 장소로 좋다.주차도 수월하고, 위치도 높아서 통영주변을 한눈에 볼수있어서 좋았다.가족여행시 특히 추천한다.
이름: r******** B**
날짜: 2018-11-28 04:23:59
코멘트: 5
코멘트: 국보로 지정된 유적지에요.통영에 있으며, 경관이 수려한 곳에 있어 가족 나들이 등을 하기 좋습니다
이름: H** M** K**
날짜: 2018-11-16 22:15:48
코멘트: 5
코멘트: 건물 규모에 압도되는 느낌
이름: C*** K**
날짜: 2018-11-11 12:35:04
코멘트: 4
코멘트: 삼도수군통제영 조선해군의 면모와 통영의 아름다운 비다조망
이름: �**
날짜: 2018-11-10 07:28:57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적 장소에 있다는것 자체가 남다른 장소임. 가보길 잘한 곳 입니다.
이름: �***
날짜: 2018-11-02 09:48:26
코멘트: 4
코멘트: 건물도 좋고 전망도 좋아요
이름: �**
날짜: 2018-10-08 15:25:23
코멘트: 5
코멘트: 문화해설사분께서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았습니다.통영에 방문한다면 꼭 가봐야할 곳입니다.
이름: B******** C***
날짜: 2018-09-27 05:06:58
코멘트: 4
코멘트: 여유롭게 마루에 앉아서 상념에 젖기에 아주 좋은장소
이름: S***** K**
날짜: 2018-06-09 15:08:01
코멘트: 4
코멘트: 통영의 바다와 임진왜란과 이순신 장군님의 역사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
이름: �**
날짜: 2018-05-25 04:00:06
코멘트: 5
코멘트: 임진왜란때의 역사의 흔적을 되돌아 가보는 곳
이름: �****
날짜: 2018-04-06 12:07:02
코멘트: 4
코멘트: 크고 웅장한 세병관에 감동했습니다. 그러나 수리중이여서 아쉽기도 했습니다.
이름: E***** S**
날짜: 2017-12-04 22:01:51
코멘트: 5
코멘트: 조선시대 수군통제영 건물로 이순신 장군의 전공을 기리는 의미로 선조가 지은 국보이다.
이름: �**
날짜: 2017-11-23 00:32:52
코멘트: 4
코멘트: 삼도 수군 통제영
이름: �*****
날짜: 2017-11-18 15:40:38
코멘트: 5
코멘트: 통영여행코스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코스.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장소임.
이름: D******* L**
날짜: 2017-10-24 20:10:53
코멘트: 4
코멘트: 역사적 교육에 좋은 곳
이름: L******
날짜: 2017-10-08 04:06:32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의 흔적을 간직한, 우리나라의 보물. 큰 현판이 인상적.
이름: �**
날짜: 2016-06-07 14:45:49
코멘트: 4
코멘트: 활쏘기,창찌르기 등 체험행사도 할수있으며 무예시범공연도 볼수있어서 좋았습니다
이름: �**
날짜: 2024-04-25 10:37:10
코멘트: 4
코멘트: 수군통제영의 센터. 그만한 위용을 보이는 건물. 이순신 장군 다음 통제사들이 늘어난 권한을 남용한 느낌이 들 정도.뭔가 훈련을 했다거나 전투를 지휘했다거나 싶은 위치인데... 잔치 공간이었던 모양.국보급 건물에 직접 발을 딛고 오를 수 있는 건 감동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