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 �*** 날짜: 2023-12-08 04:30:34 코멘트: 4 코멘트: 박무의공의 이름은 의장(毅長)으로 조선 선조(宣祖) 10년(1577) 무과(武科)에 급제하여임진왜란 때 경주부 판관(慶州府 判官)으로 왜적에게 빼앗겼던 경주성(慶州城) 탈환전에 참전하여 이장손(李長孫)이 만든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사용하여 큰 공을 세웠으며, 이어 7년 동안이나 왜적의 공격을 막아내었다.조정에서는 그의 공을 높이 평가하여 경상좌도 병마절도사(慶尙左道 兵馬節度使)로 승진시켰다.그 후 박의장이 영중(營中)에서 세상을 뜨자, 조정에서는 무의공(武毅公)이란 시호를 내렸다.이 비는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철종(哲宗) 12년(1861)에 화강암으로 만든 것으로 높이 2.3m, 폭 89cm, 두께 34cm이다.황성공원 남측에 위치한다.
이름: �** �***
날짜: 2023-12-08 04:30:34
코멘트: 4
코멘트: 박무의공의 이름은 의장(毅長)으로 조선 선조(宣祖) 10년(1577) 무과(武科)에 급제하여임진왜란 때 경주부 판관(慶州府 判官)으로 왜적에게 빼앗겼던 경주성(慶州城) 탈환전에 참전하여 이장손(李長孫)이 만든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사용하여 큰 공을 세웠으며, 이어 7년 동안이나 왜적의 공격을 막아내었다.조정에서는 그의 공을 높이 평가하여 경상좌도 병마절도사(慶尙左道 兵馬節度使)로 승진시켰다.그 후 박의장이 영중(營中)에서 세상을 뜨자, 조정에서는 무의공(武毅公)이란 시호를 내렸다.이 비는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철종(哲宗) 12년(1861)에 화강암으로 만든 것으로 높이 2.3m, 폭 89cm, 두께 34cm이다.황성공원 남측에 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