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신세동칠층전탑)

category: 역사적 장소, 관광 명소
address: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8-1
worktime:
시간
월요일24시간 영업
화요일24시간 영업
수요일24시간 영업
목요일24시간 영업
금요일24시간 영업
토요일24시간 영업
일요일24시간 영업

site: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0160000,37&pageNo=1_1_1_0
rayting: 4.3
services: 접근성: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아동: 어린이 환영,




이름: �**
날짜: 2024-02-02 22:34:24
코멘트: 5
코멘트: 안동에 있는 국보에요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S***** M***
날짜: 2024-01-25 14:50:53
코멘트: 5
코멘트: 많은 사람들이 이 탑을 봤으면 좋겠다

이름: H***** E*******
날짜: 2024-01-13 12:36:08
코멘트: 4
코멘트: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고 오래된 전탑이다. 광고도 별로 없고 안동을 찾는 관광객이라면 누구나 꼭 가는 나무다리로 이어지는 길가에 위치해 있다. 꼭 봐야할 곳은 아니지만, 다리로 가는 길에 잠시 들러보길 권한다.
PhotoPhotoPhoto
Photo
더 많은 댓글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름: s******* s*** (***** �***
날짜: 2024-01-09 05:44:16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적인 장소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
날짜: 2023-12-09 10:28:06
코멘트: 4
코멘트: 운전 중 발견해서 바로 차 세움.현존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이라 함.일제가 민족말살정책으로 그 앞에 철도를 깔아서 80년 만에 걷어냈다고 하는데.....근처에 있는 임청각은 일제가 철도 공사때 파괴된 건물들을 복원하는 공사중이라 관람할 수 없어서 아쉬웠음.
PhotoPhoto

이름: S*** T** P*** (*****
날짜: 2023-11-28 04:03:11
코멘트: 5
코멘트: 옆의 철로를 철거해 더욱 좋아짐

이름: L*** T**
날짜: 2023-08-28 12:27:16
코멘트: 5
코멘트: 건축물은 낡고 단순하지만 눈에 띄게 아름답습니다. 천년의 역사 속에서 찾아낸 한국의 미묘한 예술적 취향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이름: M**********
날짜: 2023-08-26 09:45:20
코멘트: 4
코멘트: - 많이 유명하지는 안지만 국보 문화재입니다
Photo

이름: �**
날짜: 2023-08-14 14:37:45
코멘트: 5
코멘트: 길가다 어마어마한 탑이 있어 보니 전탑이다.전탑은 벽돌로 쌓은 탑을 말한다.차돌려 가까이서 보니 이건 뭐....놀랍게도 국보 16호였다.통일신라 시절 법흥사란 절이 이곳에 있었는데 그 절은 없어지고탑만 남았단다.전탑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가장 큰 탑이고 모양새가 목탑의 중간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가 있어 국보로 정했다고 한다.근데 관리는 별로 안 하는 듯 하다. 국보가 이렇게 초라하게 관리되는 법이 있는가? 좀 더 신경써줬으면 좋겠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23-08-08 14:45:14
코멘트: 5
코멘트: 2023. 8. 7.전탑. 드물어서 찾아가봄. 경주에도 전탑이 있었는데 여기도 있네요. 경주 어디더라... ㅡㅡ힘들여 찾아보고 옴. 분황사. 전에 묵은 숙소 옆이라 아무생각없이 갔다가 재밌게 보고 온 곳.아. 여기. 현재 크랙 게이지 겁나 있음. 일제시대에 기단부에 시멘트 발랐다함. 누가 했는지는 소개에 없음. 아무튼 개늠.해서 복원? 아니고 모니터링 하고 있다고 하네요. 임청각도 그렇고. 좀! 힘써서 관리합시다. 임청각은 얼른? 꼼꼼히? 복원하고!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R*** L**
날짜: 2023-07-20 15:24:00
코멘트: 5
코멘트: 비가와서 흙탕물이 폭포를 만드네요

이름: I*** B***
날짜: 2023-06-08 04:38:22
코멘트: 4
코멘트: 안동 법흥사지 칠층석탑(신세동7층전탑)은 먼저 그 규모의 크기에 압도당할 정도이다.안동 신세동7층전탑은 한국 최대 最古의 전탑으로서 통일신라 성대에 건조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기본적인 구성형식은 일반형 석탑과 같이 기단부와 탑신부·상륜부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정사각형의 기단 각면에 8부신중과 4천왕상을 조각한 판석 6매씩을 세우고 그 위에 탑신부를 받고 있는데 탑신부는 灰黑色의 無紋塼으로 축조하였다. 초층 탑신 남쪽면에 감실을 개설하고 옥개상면에는 기와를 덮었던 흔적이 남아 있으니 이것은 전탑에 앞서 목탑이 先行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문제는 이 독립운동가 고성 이씨 석주 이상용 선생의 집 앞의 기를 꺾으려고 전탑 앞으로 일제가 철도를 개설하여 전탑 기단부에 금이 간 자리에 시멘트로 덧칠해 두었다. 그리고 최하단 기단에는 뛰어난 불상이나 나한 등의 조각이 뒷부분은 도난당하여 돌로 덧대어 놓은 장면이 안타까웠다. 이제 중앙선 철로가 이설됨에 따라 탑의 보호와 이상용 생가가 함께 복원된다고 하니 기대가 크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j*** m*** B*******
날짜: 2023-04-29 11:44:00
코멘트: 4
코멘트: 다리를 보러 지나가다가...

이름: �*
날짜: 2023-04-29 03:49:03
코멘트: 5
코멘트: 공사중이라 정신없음

이름: A****** C****
날짜: 2023-03-25 09:15:01
코멘트: 4
코멘트: 국보이며 티켓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름: �***
날짜: 2023-02-14 00:54:44
코멘트: 5
코멘트: 매우 독특한 탑. 흙으로 만든 벽돌로 만든 것을 전탑이라고 하는데, 국내에서 가장 큰 전탑이라고 합니다. 일제강점기에 시멘트로 수리해놓은 부분이 아쉽기는 하지만, 기단에 보이는 신들의 모습을 보면 신기합니다. 주변에 공사중이라 보행통로 따라서 관람할 수 있습니다.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l*** l**
날짜: 2023-02-12 08:05:57
코멘트: 5
코멘트: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벽돌탑입니다. 근처 탑동103 카페 들어가셔서도 보는 걸 추천드려요. 정말 멋진 뷰를 보실 수 있어요. (참고로 커피랑 인삼차 맛집이자, 고성이씨 종택입니다)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
날짜: 2022-12-17 08:11:14
코멘트: 4
코멘트: 법흥사지 칠층전탑이 아쉬웠다문화제를 주변 공사는 하시겠지만 덜렁 더 좋은 모습으로 다시 보길 기원합니다

이름: J**** A********
날짜: 2022-12-16 02:38:21
코멘트: 4
코멘트: 탑은 훌륭합니다. 고속도로 옆의 위치는 끔찍합니다.

이름: �*******
날짜: 2022-09-29 01:45:05
코멘트: 5
코멘트: 임청각 바로 옆 국보 전탑지금은 주변정리 공사 중이라 어수선하지만 안동댐 강물이 흐르는 앞 풍광과 뒤에 고택과의 조화가 보기 좋음하단부가 시멘트로 처리해 놓은 부분이 마음 아프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
날짜: 2022-09-15 08:05:01
코멘트: 5
코멘트: 웅장합니다.
PhotoPhotoPhoto

이름: M* M*
날짜: 2022-08-12 07:04:16
코멘트: 5
코멘트: 통일신라시대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나라 몇안되는 벽돌탑(전탑)전탑앞 종택은 음료 마셔야 입장 가능합니다.
Photo

이름: �**
날짜: 2022-07-26 09:02:21
코멘트: 5
코멘트: 우리나라 최대규모의 국보 전탑이 안동 탑동에 있었네요 최고^^/

이름: E**** K***
날짜: 2021-10-04 03:44:09
코멘트: 5
코멘트: 종택구경하러 진입하다가 우연히 보았는데, 정말 멋있어여. 제일높은 전탑
PhotoPhoto

이름: C** C** R**
날짜: 2021-08-20 14:13:20
코멘트: 5
코멘트: 에서 가장 오래된 전탑...이제 마지막으로 떠나고 조용하고 평안하소서..Brick Tower 에 속해 있는 자신의 지갑입니다.탑은1단의기단(base)위로7층의탑신(tower)을착실히쌓아올린모습이다. )을 기둥 모양으로, 기단남쪽면에는 계단을 설치하여 1층몸돌에만 들어진감실( niche: 불상을 모는방)을 향하도록 했습니다. 보아와 함께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기단의 윗면을 시멘트로발라놓아아쉬움을 남기는이탑은7층이나되는높은층수에높이17m, 기단너 비7.75m의거대에도 불구하고 안정됨자태를유지하고 있고, 국내에남아있는가장크고오래전 탑에 속한다는 것은 점에서 중요한의를 받는다는 것입니다.법흥사지 칠층전탑은 높이 17m로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으로, 탑이 서 있는 곳의 이름이 법흥리인 것으로 보아 원래의 탑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인 법흥사에 속하며, 탑신은 단층 기단에 견고하게 쌓은 벽돌로 쌓았으며, 각 면에는 화강암으로 팔수신과 사천왕이 조각되어 있다. 기단 남쪽에는 1층 본체의 벽감으로 이어지는 계단이 있으나, 아쉽게도 기단 윗면은 현재 시멘트로 마감되어 있습니다.몸체는 문양이 없는 짙은 회색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1층 중앙에는 불상을 모셨을 것으로 추정되는 벽감이 있고, 지붕돌에는 윗면에 기와를 붙인 흔적이 있다. 상하층 지붕돌이 계단형인 일반적인 전탑과는 크게 다르며, 높은 칠층석탑임에도 안정감이 매우 뛰어나고, 지붕에 기와의 흔적이 있는 점으로 보아 전탑의 형태는 추정된다. 목탑의 모습을 본떠 전탑을 지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자료.벽돌탑은 흙벽돌로 쌓은 탑을 말한다. 법흥동에 건립된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로 추정되나, 탑 주변에 민가와 철도가 있어 정확한 확인은 불가능하다. 탑은 기초를 시멘트로 코팅한 점이 아쉽다.총 7층임에도 불구하고 높이 17m, 기초 폭 7.75m의 거대한 타워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탑 중 하나이다. 중국 최고이며 현존하는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된 벽돌탑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지붕을 기와로 덮었던 흔적이 남아 있는 기와 흔적은 목조탑을 본떠 벽돌탑을 지었다는 증거로 여겨진다.벽돌탑을 쓰고, 흙을 만들고, 연기와 기와를 쓰고, 탑을 쌓고, 탑을 쓴다. 법흥동은 통일신라시대에 지어져 통일신라시대에 지어졌다. 베이스의 윗부분은 짧은 베이스로 덮여 있습니다. 7층 탑은 높이 17m, 기단은 7.75m, 거대한 탑은 폭 7.75m로 안정된 자세가 매우 안정적이며 국산도 그대로 남아 있다. 벽돌탑에 스와루 と い 우 포인트 を 홀더 つ의 의미가 중요합니다.また, 집 뿌리 타일 を 곱하기 せ て た 추적 が あ り, 목조 탑 を 모방 し て 벽돌 탑 が build て rac れ た と い у と を 인증 스와 정보 と し て 평가 価 あ れ て い を.(출처: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털없어)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
날짜: 2021-08-11 17:38:21
코멘트: 5
코멘트: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전탑임
PhotoPhoto

이름: �**
날짜: 2021-06-16 06:37:18
코멘트: 5
코멘트: 유적지답사차 다녀옴.신기하기도했지만 안전성문제에서 심각성을 느낌.보물로써 관리가필요할듯

이름: Y**** S*** K** (************ M********
날짜: 2020-10-28 01:02:55
코멘트: 5
코멘트: 안동댐 인근 볼거리 먹거리가 제법 많습니다

이름: �*
날짜: 2020-10-25 13:05:42
코멘트: 5
코멘트: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안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것이 탑입니다. 탑은 흙이나 벽돌에서 목탑으로, 목탑에서 전탑으로 전탑에서 석탑으로 발전하였는데 그 나라에서 많이 나는 재질에 따라서 중국은 주로 전탑이, 한반도에는 석탑이, 일본에는 목탑이 주로 건립되었습니다.중국에서 삼국으로 전해진 탑은 3층 석탑으로 정형화되어 발전하였습니다. 그러던 것이 통일신라 후기와 고려시대를 거치며 3층 석탑에서 다층 석탑형태로 변형을 가져왔고 특히 모양에 있어서도 변형된 모양의 석탑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다층석탑은 5층 석탑, 7층 석탑, 9층 석탑, 13층석탑 등으로 층수가 다양하게 변모하였고, 다른 모양(이형)의 석탑으로는 불국사 다보탑을 비롯하여 지붕돌이 8각인 석탑 등으로 변형된 석탑이 나타납니다.한반도에는 분황사 모전석탑을 시작으로 전탑모양의 탑이 세워지는데 분황사 모전석탑은 이름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탑이 아닌 석탑입니다.(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 전탑형식으로 탑을 조성하였기에 모전석탑이라 부릅니다.) 분황사 모전석탑의 영향을 받아 흙으로 구운 벽돌을 쌓은 전탑은 통일신라시대 경북 내륙지방인 안동을 중심으로 자리잡습니다.안동을 대표하는 전탑으로는 동부동 5층전탑(보물 제56호), 조탑동 5층전탑(보물 제57호), 법흥동 7층전탑(국보 제16호)이 있으며 안동지방을 조금 벗어난 곳에 위치한 전탑으로는 (전탑형식의) 의성 탑리 5층석탑, 영양 봉감 5층 모전석탑, 칠곡 송림사 5층전탑, 군위 삼존석굴 모전석탑 등으로 주로 통일신라시대 전탑이고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은 고려시대의 전탑입니다.안동을 대표하는 법흥사지 7층전탑은 아쉽게도 오래전 전탑 하단부에 콘크리트로 경사각을 이루며 덧씌워져 있고 하늘로 곧게 올라가야 할 탑신은 왠지 균형이 맞지 않은 듯 한쪽으로 쏠린 듯 보이며(착시현상인지?) 때때로 지나가는 철마의 울림에 균형을 금방이라도 잃을까 조마조마하기만 합니다.한국에 잘 알려진 중국의 대표적인 전탑으로는 진, 한, 당나라의 수도였으며 중국 황하문명의 발상지라 할 수 있는 서안(중국식 발음으로 시안인데 장안이라 불리기도 했습니다)의 대자은사 대안탑일 것입니다. 대안탑은 당나라 시대 때 인도로 유학한 현장법사(서유기에 나오는 삼장법사)가 당나라로 귀국하면서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을 번역하여 법문(경전)을 보관할 목적으로 세운 인도식 전탑입니다. 시안의 천복사 소안탑도 전탑입니다.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20-07-24 06:08:13
코멘트: 5
코멘트: 보기 드문 전탑...고택과 철도 사이에 있는 모습이 시간의 흐름을 보여준다.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20-02-06 10:29:14
코멘트: 5
코멘트: 일본놈들 때문에 빛을 못보고ㅠ

이름: h***** c**
날짜: 2020-01-13 07:38:27
코멘트: 5
코멘트: 안동의 대표적인 여행지중의 하나인 임청각과 동일한 위체 있는 법흥사지 7층 전탑입니다. 한자어가 어려운데 설명의 영문타이틀에서 좀더 의미를 쉽게 알수 있습니다. brick, 즉 벽돌로 만들어진 탑이라는 뜻입니다. 보시면 국보임에도 불구하고 시멘트로 복구한 비참한?? 모습을 볼수 있는데 역시나 일제시대에 보수한 흔적입니다. 또한 전탑의 특성상 진동과 자연재해에 매우 취약한데 정부와 철도청, 안동시 모두 골머리를 앓고 있죠. 바로 옆으로 중앙선 철도가 지나가기 때문입니다. 국보에 걸맞은 대우와 복원이 시급해보입니다. 임청각을 둘러보면서 꼭 살펴보세요. 특히나 시멘트로 복구한 아래의 기단부분은 정교하게 새겼을 석공의 예술을 세월의 흔적에도 불구하고 남아 있습니다. :)
Photo

이름: Y****** C***
날짜: 2020-01-04 03:00:24
코멘트: 5
코멘트: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6호로 지정되었다. 길이 28cm, 너비 14cm, 두께 6cm의 벽돌로 정교하게 쌓아 만든 벽돌탑으로, 탑의 높이 17m, 기단의 너비 7.75m이다.기단은 방형(方形)으로, 지상에 8부신중(八部神衆)을 양각해서 동·남·북 3면에 각 6장씩 세우고 초층 옥신 밑면의 공간은 원분(圓墳) 모양으로 이루어졌으며 정면 계단은 단층기단 형식이다. 또한 8개의 계단 위에는 높이 90cm, 너비 54cm의 감실(龕室)이 있다. 판석 조각의 수법은 시대가 동일하지 않고 탑신부는 무늬 없는 회색 벽돌로 축조되었고, 옥개 상면에는 곳곳에 기와를 입혔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상륜부는 노반(露盤)만 남아 있는데 원래는 금동제(金銅製) 상륜이 있었다고 한다.1487년에 개축되었으며 원형이 보존된 한국 최고(最古)의 전탑이다.출처 - 두산백과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J* J***
날짜: 2019-09-15 14:22:23
코멘트: 5
코멘트: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반드시 가봐야 할 임시정부 이상용 국무령님 댁을 곁에 둔 국보

이름: I* l***** J****
날짜: 2019-08-16 14:03:28
코멘트: 5
코멘트: 탑 말곤 볼게 없어요
PhotoPhoto

이름: j*** j****
날짜: 2019-06-20 18:11:27
코멘트: 5
코멘트: 멋있어요

이름: j*** L*
날짜: 2019-06-17 07:23:45
코멘트: 5
코멘트: 우리나라에서 가장크고 오래된 전탑. 실제로보면 더욱 웅장하다. 기찻길옆에 있는 모습이 좀 짠하다.
Photo

이름: K***
날짜: 2019-03-24 12:54:48
코멘트: 5
코멘트: 임청각을 지나 1분을 걸어가면고성이씨 탑동종택이 나오고그 집 담장 옆에우리나라에서 제일 크다는법흥사지 칠층전탑이철길 바로 옆에 있음.무려 1,300여년 전에세워졌으며, 벽돌이 주재료임.통일신라 시대 당시의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은많이 퇴락 했으나거대한 위용만은 아직도남아있음.탑의 위용을 보면 지금의탑동종택이 있는 일대가법흥사터임을 알 수 있고불국사에 버금가는 사찰이있었을 것으로 당연히 생각.아쉬운 것은 국보 13호에걸맞는 관리가 전혀 이뤄지고있다고 생각되지 않음.통일신라의 석공들이 새겼을팔부중상 등의 조각상들은형체를 알수가 없게 마모가 심함.철길 바로 코앞에 자리하고 있어진동과 분진 등의 오염원들이전탑의 자리를 위태하게 함.불국사 석가탑, 다보탑못지 않다고 생각되는데,부당한 대우를 받는듯한느낌을 받음.

이름: K***** L**
날짜: 2019-03-14 10:15:47
코멘트: 4
코멘트: 멋지다

이름: �**
날짜: 2018-12-07 08:57:09
코멘트: 5
코멘트: 유산이죠~~~

이름: Y******* L** (******** T**
날짜: 2018-10-19 06:12:28
코멘트: 5
코멘트: 국내에 남아있는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에 속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지붕에 기와를 얹었던 자취가 있는 것으로 보아 목탑을 모방하여 전탑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이름: w** c****
날짜: 2018-06-24 04:10:20
코멘트: 5
코멘트: 신서동 칠층전탑은 높이 16.8m, 폭 7.75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으로 국보 제1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탑이 위치한 지역을 법흥리라고 하는데,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에 창건된 법흥사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탑 외에는 사원의 유적은 없습니다. 현재 구청에 있는 리씨 가문의 사적이 있는 곳은 예전 화흥사 터였던 흔적이 있습니다. 기존 칠층전탑의 윗부분은 사라졌고, 아랫부분에는 수호상이 아름답게 새겨져 있다.
Photo

이름: �**
날짜: 2017-06-12 13:42:19
코멘트: 5
코멘트: 국내 최고 전탑

이름: A****** O*
날짜: 2016-09-30 03:38:45
코멘트: 5
코멘트: 역사가 오래된 전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