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종택

category: 관광 명소, 역사적 장소
address: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466
services: 접근성: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아동: 어린이 환영,

site: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2333700420000
rayting: 4.1



이름: �**
날짜: 2023-12-01 12:03:33
코멘트: 4
코멘트: 그냥 동가댁 ?

이름: Y K L
날짜: 2023-11-11 08:25:35
코멘트: 5
코멘트: 한옥이 예쁨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23-08-16 10:10:42
코멘트: 4
코멘트: 퇴계수련원 일정중 종택방문 계획이 종손의건강 상황이 좋지않아 아쉽게도 종택방문은 없었어요.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더 많은 댓글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름: �***
날짜: 2023-08-07 06:24:17
코멘트: 5
코멘트: 퇴계선생의 위업을 느낄수 있는.. 안동의 명소♡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
날짜: 2023-07-16 09:00:38
코멘트: 4
코멘트: 고적하네요.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J*** H*
날짜: 2023-05-26 08:35:00
코멘트: 4
코멘트: 조용히 다녀왔습니다
PhotoPhoto

이름: J******* L**
날짜: 2023-04-22 10:45:52
코멘트: 4
코멘트: 함께 취미생활하는 사람들과 1일체험과정에 방문한 곳이다. 학문적 정신적 배움이 많은 곳이라 생각되는 곳으로 방문을 적극 권해봅니다.

이름: �**
날짜: 2023-03-08 10:34:24
코멘트: 4
코멘트: 문이 닫혀있었음.

이름: �**
날짜: 2023-02-17 11:39:46
코멘트: 5
코멘트: 造福을 실천 하시는 진성 이씨 종손의 철학이 높이 살수 있는 강의 였습니다.

이름: M**********
날짜: 2022-09-10 06:10:33
코멘트: 4
코멘트: 유서깊고 보기에도 좋고

이름: �***
날짜: 2022-09-01 09:20:37
코멘트: 5
코멘트: 고즈녁한 고택의 은은한 고향집같은푸근함.정겨움에 마루턱에 앉아 잠시쉼을 얻고 왔다.

이름: �**
날짜: 2022-06-06 02:11:53
코멘트: 5
코멘트: 소리없는 종가손 닥아오는 존경겸손 친절한 안내우리나라 최고의 인재를 추모

이름: �**
날짜: 2022-05-06 00:00:58
코멘트: 4
코멘트: 퇴계 이황의 후손이 아직 살고 있는집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
날짜: 2022-04-19 07:10:52
코멘트: 5
코멘트: 주영이네 집

이름: p********** K*
날짜: 2022-01-25 01:28:18
코멘트: 4
코멘트: 퇴계 종손이 사시는 곳으로 퇴계의 숨결과 삶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이름: Y* O*
날짜: 2021-12-16 02:48:56
코멘트: 4
코멘트: 퇴계 이황선생의 종가집. 도산서원에서 차로 5분정도 거리의 고즈넉한 장소에 위치해 있다. 선생의 장손인 이안도가 처음 짓고 대대로 종손들이 생활해 왔다고 한다. 원 주택은 1907년에 화재로 전소되었고, 현재의 건물들은 1926년에 종가 후손들이 새로 지었다고 한다. 살림채, 정자, 사당 등으로 나뉘어져 있고, 현재는 일부분만 일반인들이 직접 구경할수 있다. 퇴계선생께서 그의 위대한 철학과 사상을 생각하고 고민하면서 집과 도산서원을 오간 상황을 그려보게 되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
날짜: 2021-12-03 00:26:09
코멘트: 5
코멘트: 퇴계와 유교문화에 관심이 있다면 꼭 가봐야함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21-10-24 06:02:37
코멘트: 5
코멘트: 굿.

이름: �***
날짜: 2021-10-17 22:24:20
코멘트: 5
코멘트: 고즈넉한 분위기에 ,맘이 평온해지네요

이름: �**
날짜: 2021-10-17 01:42:42
코멘트: 5
코멘트: 언제나 편안한 곳

이름: �***
날짜: 2021-09-25 03:17:51
코멘트: 5
코멘트: 의미가 있는곳추월한수정

이름: �**
날짜: 2021-09-23 11:26:02
코멘트: 5
코멘트: 좋아요, 그냥...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21-08-15 09:52:29
코멘트: 5
코멘트: 진보이씨를 쓰는 사람으로써 옛 선조분을 알아보구 싶어서 다녀왔습니다

이름: �**
날짜: 2021-07-31 08:04:23
코멘트: 5
코멘트: 퇴계 이황의 16대 종손 이근필옹의 예와 경의 실천 강의를 들었습니다. 지금은 90세의 연세이고 건강도 좋지 않아 거의 듣지를 못 하시지만, 남녀노소. 신분 차이를 가리지 않고, 찾아온 손님을 무릎꿇고 예로 대하시는 이옹의 강의는 21세기 정신문화의 큰 울림이었습니다. 직접 써주신 글 造福을 소중히 받아들고 돌아왔습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D** W** L**
날짜: 2021-07-20 11:52:32
코멘트: 5
코멘트: 성리학을 일군 영원한 스승
PhotoPhoto

이름: �****
날짜: 2021-07-11 08:49:34
코멘트: 5
코멘트: 좋았음

이름: �**
날짜: 2021-04-30 09:26:21
코멘트: 4
코멘트: 야간출입은하지않겠지만밤이되면정말좋아요ㅡ개구리울음소리ㆍ물소리ㆍ새소리ㆍ막힌도로라차량도없고,하늘엔별이쏟아지고,은하수를본게몇년만인지,늦은저녁에오셨다가밤경치까지감상하세요ㅡ

이름: �**
날짜: 2021-03-10 08:02:12
코멘트: 5
코멘트: 직접보니 신기하네요
PhotoPhoto

이름: L** j*******
날짜: 2021-02-27 20:30:55
코멘트: 5
코멘트: 나도 모르는 사이에 기쁨이 솟았고눈이 열렸는데 오래 두고 익숙하게읽으니 점차 의미를 알게 되어 들어 가는길을 얻은 것 같았다 -퇴계 이황-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M** J
날짜: 2021-02-14 11:42:50
코멘트: 5
코멘트: 코로나 시기에는 4시 30분 까지 입장이에요방역팀 퇴근 전에 도착 하셔야 입장 가능해요 참고하세요 고즈넉 하고 한적 해요

이름: �**
날짜: 2021-01-25 07:07:24
코멘트: 4
코멘트: 1920년 지은 고택퇴계 가문 후손집이지 이황과는 관련 없음민가 실거주지라 입장 힘듬

이름: �*
날짜: 2021-01-10 05:53:50
코멘트: 4
코멘트: 도산서원 퇴계종택은 분천동에서 3~ km 이내입니다.또한 도산면 소재지에서도 차로5분 7분이내로 종택 까지가면댑니다

이름: �**
날짜: 2020-12-06 21:43:01
코멘트: 4
코멘트: 겉에서만 볼 수 있어서 다소 아쉬웠다

이름: L**** L**
날짜: 2020-12-01 15:47:10
코멘트: 4
코멘트: 거주민이 계셔서 들어가 볼 수 없는 아쉬움과 그러나 덕분에 옛모습 지니며 지금까지 이어오는게 좋아보이네요

이름: �**
날짜: 2020-11-22 01:03:42
코멘트: 5
코멘트: 포근함

이름: �**
날짜: 2020-11-17 11:14:51
코멘트: 5
코멘트: 좋아요

이름: �***
날짜: 2020-10-25 22:18:32
코멘트: 4
코멘트: 산세에 둘러싸여 조용하고 경치가 너무좋으넹ㄹㄷ

이름: �**
날짜: 2020-10-08 06:18:42
코멘트: 5
코멘트: 너무좋습니다

이름: �**
날짜: 2020-06-28 08:51:56
코멘트: 5
코멘트: 양택의표본
Photo

이름: U**** v*****
날짜: 2020-06-21 16:43:03
코멘트: 4
코멘트: 도산서원과 가까운 곳에 있고, 경상북도 기념물임. 현재 퇴계선생의 후손이 살고 있는 집이므로 자세히 둘러보기는 어려움.도산서원이 필수코스라면 이 곳은 선택코스쯤에 해당함. 따라서 반드시 들를 필요는 없음.기념물이긴 해도 후손이 여전히 살고 있는 곳이라 남의 집을 엿보는 기분이 드는 것은 사실임.--‐-----------------------------------------1982년 12월 1일 경상북도기념물 제4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중기의 대학자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종택이다. 원래의 가옥은 없어졌으며, 지금의 가옥은 퇴계의 13대 후손인 하정공(霞汀公) 이충호가 1926~1929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종택의 크기는 총 34칸으로 ㅁ자형이며, 전체 면적은 2,119㎡이다. 종택 오른쪽에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을 한 추월한수정(秋月寒水亭)이라는 정자가 있다. - 출처 : 네이버

이름: �**
날짜: 2020-06-12 09:53:45
코멘트: 5
코멘트: 퇴계후손들의 숨결이 느껴져요

이름: �**
날짜: 2020-01-30 07:35:24
코멘트: 5
코멘트: 이유가 필요할까?

이름: �**
날짜: 2020-01-20 22:42:36
코멘트: 5
코멘트: 종친분이 친절하고 집이 아름답습니다

이름: �**
날짜: 2020-01-20 07:48:42
코멘트: 5
코멘트: 청량한 퇴계선생
Photo

이름: �*
날짜: 2020-01-13 03:51:19
코멘트: 5
코멘트: 그냥 유네스코 세계유산임

이름: Y****** C***
날짜: 2020-01-10 05:16:59
코멘트: 5
코멘트: 퇴계종택은 20세기 초에 다시 지은 집이기는 하지만 살림채인 안채와 사랑채, 사당채로 구성된 전형적인 경북지방 종가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정려가 있는 솟을대문을 지나면 안채로 들어갈 수가 있고 동쪽 측면에 중문이 나 있다. 안채 마당에서 무심코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려보면, 플라스틱 드럼통을 거꾸로 엎어 만든 개집 위로 담장에 조그맣게 뚫린 구멍이 보인다. 딱 눈높이의 도둑구멍이다. 구멍으로 내다보면 사랑에 출입하는 사람들이 누구누구인지 알 수 있다. 문을 열기 전에 사랑채에 오는 손님이 누구인지 파악하게 하려는 배려인 듯하다.사랑채 또한 따로 솟을대문을 두어 출입할 수 있게 했는데, 백하 윤순이 쓴 ‘退溪先生舊宅’(퇴계 선생 구택) 편액이 걸려 있다. 요즈음에는 사랑채 문을 열지 않는데, 대신 안채 마당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다. 사랑채는 당호가 ‘추월한수정’(秋月寒水亭)으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42호이다. 한수정은 한수암 옛터에 사림들이 세운 건물이었는데, 뒤에 소실되고 나서 문중에서 다시 지었다.출처 - 답사여행의 길잡이 10 - 경북북부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
날짜: 2019-11-04 03:26:49
코멘트: 5
코멘트: 88세 되신 종손께서 방문객을 무릎 꿇고 맞이해주시고 갈때도 한사람한사람 두손 꼭 잡으시며 덕담도 해주셔서 감동이었습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K**** d** K***
날짜: 2019-10-08 23:55:01
코멘트: 5
코멘트: 안동시내에서 좀 멀리 떨어져있는것 빼고는 주변 경관이 수려합니다.이육사문화관이 주변에 있어 함께 구경하시면 좋아요
Photo

이름: �**
날짜: 2019-09-25 07:40:35
코멘트: 5
코멘트: 퇴계선생의 숨결을 느낄수 있는 곳임

이름: d* (***
날짜: 2019-08-17 13:49:30
코멘트: 4
코멘트: 이뻐요

이름: J******* S**
날짜: 2019-08-14 03:48:36
코멘트: 5
코멘트: 완전 멋있습니다

이름: h*** K
날짜: 2019-07-31 12:38:34
코멘트: 4
코멘트: 퇴계 이황선생의 종가다역사적 장소라 의미가 있었다종택뒤로는 도산서원으로 가는 산길이 있었는데 그길을 걸었을 퇴계선생을 생각해보았다대문 앞 마당에는 멋진소나무와 흰색무궁화가 인상적이었다
Photo

이름: �****
날짜: 2019-07-26 11:31:00
코멘트: 4
코멘트: 그 시절 종택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름: �**
날짜: 2019-07-21 05:55:32
코멘트: 5
코멘트: 소박하여 좋다.

이름: J***** K**
날짜: 2019-07-20 12:08:27
코멘트: 4
코멘트: 그냥 큰 기와집
Photo

이름: G**** K**
날짜: 2019-07-20 00:40:51
코멘트: 4
코멘트: 그냥 큰 기와집..
Photo

이름: �**
날짜: 2019-07-16 12:44:35
코멘트: 4
코멘트: 1000원권
Photo

이름: J****** K***
날짜: 2019-06-25 13:49:58
코멘트: 4
코멘트: 선비 정신으로 대표되는 곳

이름: N**** K**
날짜: 2019-05-09 06:18:20
코멘트: 5
코멘트: 퇴계이황이 사셨던 곳으로 현재는 그 후손들이 살고 있습니다. 사유지라 깊게 들어가서 자세히 볼 수는 없지만 볼 만합니다. 도산서원과 가깝습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
날짜: 2019-05-03 08:23:59
코멘트: 5
코멘트: 최고멋진장소입니다

이름: �*
날짜: 2019-05-01 08:46:13
코멘트: 5
코멘트: 선비정신을 배우기 좋은 장소

이름: V*******
날짜: 2019-04-07 12:40:47
코멘트: 5
코멘트: 이근필 선생님의 좋은 말씀 가슴에 새겨 듣겠습니다. 잊지못할 뜻깊은 시간이였습니다.

이름: �**
날짜: 2019-04-01 03:09:48
코멘트: 5
코멘트: 퇴계종택부근에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이 있습니다김병일 이사장님의 주창의로도덕선양운동을앞장서서 수고가 많으시네요

이름: �**
날짜: 2019-03-10 04:43:58
코멘트: 5
코멘트: 옛스러움을 간직한 곳.도산서원 갔다가 선성수상길을 찾다 잠시 들렀어요.일단 주변 산책은 필수인 것 같아요.여정이 바빠 다 돌아보지 못하고 나욌습니다.선성수상길 검색해보시고 꼭 둘러보세요.

이름: �**
날짜: 2019-03-01 09:38:54
코멘트: 5
코멘트: 퇴계선생 수제자이신 학봉선생의 해사록 학술발표회 교수님들과 함께 퇴계종택을 방문하였습니다.80이 넘으신 종손(이근필 옹, 87)께서 반갑게 맞이하여 주셨고 직접 쓰신 ‘義在正我(의재정아, 의리는 나를 바르게 하는 데 있다)’라고 쓴 글씨를 모든 분께 한장씩 주셨습니다.폐렴에 걸려 현재 화복 중이라고 하시면서 마스크를 쓰고 있어야 함을 미안해 하셨습니만 와병 중에도 직접 저희들을 맞이해 주셔서 많이 놀랐습니다.현재 귀가 많이 어두우신 관계로 학봉종택의 종손이신 김종길 선비문화수련원장님께서 학봉종택에 대해 설명을 해 주셨습니다.그리고 집을 나설때에는 한사람 한사람 손을 잡아 주시며 배웅 해 주셨습니다.500년을 넘는 세월을 이어온 종택과 종손의 위대함과 선비의 정신을 느낄 수 있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 (******
날짜: 2019-01-22 03:16:19
코멘트: 5
코멘트: 한적하고 유서 깊은 곳 ~~
PhotoPhoto

이름: �***
날짜: 2019-01-16 02:26:38
코멘트: 4
코멘트: 지역에 계시는 해설하시는 후손들께서자세하게 설명은 해주시나장애인들에 대한 배려가 조금은 부족한부분이 있다는 것이 아쉽습니다

이름: S********
날짜: 2018-12-19 08:12:02
코멘트: 5
코멘트: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을 부르는 또다른 이름. 이 이름을 백년 뒤에도 부를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하는 분이 과연 있을까라고 생각도 안했었는데.... 퇴계종택에서 그 분을 뵐 줄이야...

이름: �**
날짜: 2018-11-15 06:41:14
코멘트: 5
코멘트: 우리나라의 전통성을 이어가는 곳이고, 잊혀져가는 과거와 현재를 한번에 볼 수 있다. 손님에게 물한그릇이라도 내놓으시려는 선비됨에 타인에게 인색한 내가 작아지게되고, 고택을 이어가는 사람을 보니 우리가족,형제를 잊고 사는 내가 부끄러워졋다. 나를 가꾸고 견문을 넓히고 나의 철학을 가져 앞으로 삶이 헛되지않게 보내야겟다고 다짐해본다.

이름: �**
날짜: 2018-11-03 08:20:26
코멘트: 5
코멘트: 한성씨의종택을배우는기회입니다

이름: J** P***
날짜: 2018-10-16 05:11:17
코멘트: 5
코멘트: 정보 : 종택의 집 이름은 추월한수정 이다.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18-10-06 02:13:17
코멘트: 5
코멘트: 완전재밌다

이름: �**
날짜: 2018-08-24 04:58:41
코멘트: 5
코멘트: 태계선생의 종가 원래에 있던집은 없어지고 13대손 하정공이 옛가옥의 규모를 따라 새로지은 집 경북기념물 제42호 * 퇴계종택 *

이름: �**
날짜: 2018-05-28 11:07:13
코멘트: 5
코멘트: 퇴계종택할아버지가 너무 친절하시다.그런데 연세가 많으셔서 보청기를 사고 계신다.공기가 참 맑다

이름: �**
날짜: 2018-05-12 23:58:28
코멘트: 4
코멘트: 안동도산서원의이모저모.우중의날씨로조금은우울하였으나 상춘방문객이너무많았슴. 시선단은7,223명중11명을선발한과거시험장소였다함.

이름: �**
날짜: 2018-04-29 11:30:02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의 흐름을 느낄수 있는곳~^~

이름: �**
날짜: 2018-03-09 08:24:42
코멘트: 5
코멘트: 좋은경치도 구경하고 한번 꼭 가볼만한곳

이름: �**
날짜: 2018-02-23 07:58:21
코멘트: 5
코멘트: 우리 가문 종택이고 종손이시자 전직 도산, 온혜 초등학교 교장이셨던 이근필 선생님은 소문난 명필이시기도 하다.

이름: �**
날짜: 2018-02-05 02:42:23
코멘트: 4
코멘트: 종택앞의 7층탑이 국보15호

이름: s****** p**
날짜: 2017-10-08 06:19:26
코멘트: 5
코멘트: 도산서원에서 퇴계명상길을 따라 내려오면 만나는 곳

이름: �**
날짜: 2017-09-23 08:43:49
코멘트: 5
코멘트: 15대 후손 강의

이름: �**
날짜: 2017-07-21 05:35:09
코멘트: 4
코멘트: 퇴계의 종손과 가문은 있지만 퇴계정신은 없는 곳가문 자랑이 대부분...

이름: W** P***
날짜: 2017-07-07 02:40:00
코멘트: 5
코멘트: 역사적 문화장소로서 알아야할 중요가치가 있고 후세에 기리 보존해야될 장소임

이름: J*** S*** K**
날짜: 2016-08-02 05:36:52
코멘트: 5
코멘트: 살아있는 역사 종손이 계시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