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태사묘

category: 관광 명소, 역사적 장소
address: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중구동 태사2길 13
Phone: +82 54-852-1969
services: 접근성: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아동: 어린이 환영,

site: http://www.tsm3.or.kr/
rayting: 4.4



이름: �**
날짜: 2023-12-15 05:20:50
코멘트: 5
코멘트: 태사묘(太師廟) - 3태사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곳이다.다음은 서울에서부터 동행한 문화해설사가 작성해준 안내문에있는 태사묘에 관한 글을 옮겨왔다.안동시내 북문동에 있는 태사묘는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하여태사로 추대된 세 분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즉, 안동을본관으로 하는 3성(三姓)인 안동권(安東權), 안동김(安東金),안동장(安東張)씨등 삼성의 역사가 시작된 곳이다.고려 초 태사의 위치는 삼공(三公)인 사마(司馬), 사도(司徒),사공(司空)과 함께 임금의 고문으로, 실무에는 종사하지 않는국가 최고의 명예직이다.후삼국 당시 안동은 먼저 일어난 견훤에 의해 장악되었으나,뒤에 일어난 왕건이 이 지역의 토호인 김선평, 권행, 장길 등을품고는 결국 병산전투에서 견훤을 물리쳐 발판을 만들었다.세 태사 가운데, 권행은 본래 김씨였는데 왕건이 권도를적절히 행 했다.는 치사와 함께 권씨성을 하사했다.왕건은 이 세 사람을 태사로 추대하고 동쪽을 안정 시켰다는의미로 이 지역의 지명을 안동(安東)이라 불렀다.안동에 살고 있는 안동김씨는 온갖 권력을 쥐고 나는 새도 떨어뜨린 세도(勢道)정치를 한 같은 부류로 취급받는 것을 억울해 한다고 한다.세도정치를 한 안동김씨는 조선시대 한양 장동에 터전을잡고 권세를 잡아 세도가문으로 이름을 떨친 이들로 장동김씨(壯洞金氏)라고 부른다고도 한다.세도정치는 우리 근세사에서는 조선 말 순조 · 헌종 · 철종3대 60년에 걸쳐 왕의 외척으로서 조정의 요직을 독점하고세도정치를 행한 안동김씨 일가를 가리킨다.안동김씨(安東金氏)는 김은열의 둘째 아들 김숙승(金叔承)을시조로 하는 세칭 ‘구(舊)안동’과 고려 태사(太師) 김선평(金宣平)을 시조로 하는 ‘신(新)안동’의 두 계통으로 나뉜다.이 두 ‘안동’은 조선시대에 정승 19명, 대제학 6명, 왕비 3명을배출하였다.​구 안동의 현대 인물로는 백범 김구가 있다.신 안동김씨로는 김삿갓으로 유명한 김병연과 구한말의정치가 김옥균, 독립운동가 김좌진 장군이 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
날짜: 2023-11-13 22:34:48
코멘트: 4
코멘트: 사묘.고려 건국시 후백제 견훤을 토벌한 개국공신 삼태사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곳.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K***
날짜: 2023-08-24 05:22:50
코멘트: 5
코멘트: 안동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역사적 장소. 안동의 역사와 정신의 뿌리가 신라와 고려에 있음을 느끼게 함
PhotoPhotoPhoto
더 많은 댓글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름: C******* L**
날짜: 2023-08-05 02:26:39
코멘트: 5
코멘트: 좋아요

이름: H* C**
날짜: 2023-03-21 13:28:39
코멘트: 4
코멘트: 밥먹으러 가는길에 잠시 들렸어요.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무료로 방문가능한 곳입니다. 고려건국의 개국공신인안동 김씨, 안동 권씨, 안동 장씨의 위패가 모셔진 곳이라 하니 역사에 관심이 있다면 여행시 한번 방문해볼만 합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I*** B***
날짜: 2022-11-21 10:13:40
코멘트: 4
코멘트: 안동 태사묘Eyesnutult-do MonumeTesamyo Shrine, Andong태사묘는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운 김선평 권행, 장정필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세 사람은 930년 고려 태조 왕건(王918~943 재위)과 후백제 견훤이 고창(지금의 안동 지역에서 전투를 벌일 때 고려가 승리하도록 도왔고, 이 전투에서 승리한 고려는 936년 마침내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왕건은 세 사람을 공신으로 추대하고 태사)의 벼슬을 하사했으며, 이 지역에 동쪽을 평안하게 하다 라는 뜻의 안동 이라는 새 이름을 내렸다. 테사묘는 고려 성종 2년(983) 삼태사의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세운 삼공산에서 비롯되었다. 조선 중종 37 년(1542) 현재 위치로 옮겨 지어졌으며, 임진왜란 때 불에 탔으나 광해군 5년(1613)에 규모를 확대해 재건하면서 태사모로 이름을 바꾸었다.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가 1958년에 복원하였으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경내 가장 안쪽에 위패를 모신 태사묘가 있고, 태사묘 주변에는 낮은 담이 둘러져 있다. 태사묘 앞에는 회의장으로 쓰이는 숭보당, 제사 참석자들이 머무는 동재와 서재, 회의나 제사가 있을 때 복을 쳤던 경모루 등 여러 부속 건물이 있다.Taesamyo Shrine was established for the veneration Kim Seon-pyeong (901-7), Gwon Haeng and Jang Jeong pil (888-3), who all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These three men assisted Goryeos founding king. King Taejo (r. 918-943), in securing a victory at the battle of Gochang (todays Andong) in 930 In 936, the Later Three Kingdoms were successfully united under Goryeo rule King Taeyo hon- ored the three men as meritorious subjects and bestowed them with the office of grand preceptor (taesa), the highest government post. The king also bestowed the area with the new name Andong, meaning Pacifying the East.A shrine honoring the three men was first established in 983 under the name Samgongsinmyo. meaning Shrine of the Three Meritorious Subjects It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1542, but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 sions of 1592-1598. The shine was rebuilt on a larger scale in 1613, at which time it was given the name Taesamyo, meaning Shrine of the Grand Preceptors. This building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and was rebuilt in 1958 It has since undergone several repairs. A veneration ntual is held each year in the 2nd and Bth lunar months.The shrine where the spirit tablets of the three men are held is located in the back of the complex and is surrounded by its own enclosure wall. In front of this are several auxiliary buildings, such as a meeting hall named Sungbodang two dormitories used by those participating in the rituals, and a pavilion named Gyeongmoru that holds a drum that is strack during meetings or rituals.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22-08-11 04:16:47
코멘트: 4
코멘트: 안동을 있게하고 후삼국을통일하는데공헌을한 삼태사 (김신평 권행 장정필)의묘우를 관람함
Photo

이름: Z** S*
날짜: 2022-07-29 11:07:48
코멘트: 5
코멘트: 좀 작지만 가보니 좋더라고요 가볼 만합니다

이름: �***
날짜: 2022-04-05 14:13:55
코멘트: 5
코멘트: 추억이 있는곳 .. 좋아요 중심지에 있어요 지나가다 잠시 쉬어가도좋아요

이름: C****** J***
날짜: 2022-02-28 13:55:06
코멘트: 5
코멘트: 말로표현하지말고 한번와보세요

이름: �**
날짜: 2021-12-28 02:36:30
코멘트: 4
코멘트: 태사묘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
날짜: 2021-12-06 11:55:16
코멘트: 5
코멘트: 좋아요

이름: K***** L**
날짜: 2021-06-06 06:42:35
코멘트: 4
코멘트: 여유롭게 쉴수 있어서 좋아요
Photo

이름: �****
날짜: 2021-05-18 04:45:42
코멘트: 5
코멘트: 전통혼례 장소로 정말 좋았어요.

이름: S******** C**
날짜: 2021-03-19 05:29:37
코멘트: 5
코멘트: 안동 시내에 이런 숨겨진곳이 있다니 너무 좋습니다맘모스베이커리 카페갔다가 이곳 들려서 운치있게 구경하고해설사분도 해설잘해주셔서 좋았던곳ㅎ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

이름: �*
날짜: 2020-10-24 14:02:03
코멘트: 5
코멘트: 태사묘는 안동을 본향으로 하는 안동김씨, 안동권씨, 안동장씨 시조를 모신 사당입니다. 삼태사는 후삼국시대 때 왕건을 도와 견훤이 이끄는 후백제와의 영남지방 내륙 깊숙히 자리한 고창전투(안동의 옛이름)에서 후백제를 물리침으로써 삼국통일의 초석을 다진 전투입니다.고창전투 3태사의 결정적 도움으로 전세를 역전시킨 왕건에게는 3년전에 있었던 공산전투를 떠올리게 했을 것입니다. 공산전투는 왕건과 견훤이 대구 팔공산 자락에서 대대적인 교전을 벌린 전투입니다. 이 전투에서 왕건은 뼈아픈 패배를 당합니다.견훤이 이끄는 후백제군에 포위되어 목숨이 경각에 달린 왕건을 구하기 위해 심복 신숭겸이 왕건의 갑옷으로 바꿔입고 후백제군을 유인하는 틈을 타 간신히 포위망을 뚫고 정신없이 도주한 왕건이 주위에 군사 소리가 들리지 않자 정신을 차리고 말을 세운 후 처량한 자신의 신세를 한탄했다는 반야월을 비롯하여 독암바위, 실왕, 불로 등 공산전투와 관련한 지명이 대구지방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이 전투에서 왕건 자신의 충실한 심복 신숭겸 장군을 잃게 됩니다. 후삼국을 통일한 왕건은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장절이라는 시효를 내렸는데 팔공산으로 가는 양지바른 곳에는 장열히 숨진 신숭겸을 기리기 위해 신숭겸장군 유적지를 조성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그런 뼈아픈 전투가 있은 후 고창전투에서 3태사의 도움으로 통일기반을 마련하게 되었으니 3태사의 고마움을 어찌 말로 표현할 수 있었겠습니까. 왕건은 후삼국 통일의 꿈을 이룬 후 동쪽을 안정시켰다는 의미로 고창을 안동이라 이름지었다고 합니다.그런 고창전투에서 왕건을 도운 김행, 김선평, 장정필의 절대적 도움으로 대업을 이룬 왕건이 그 은공에 보답하기 위해 김행을 안동권씨의 시조로 김선평을 안동김씨의 시조로 장정필을 안동장씨의 시조로 하는 안동부민 3태사에 봉한 것입니다.조선 중종대에 이르러 안동부사 김광철이 태사묘를 건립한 후 수차례 중수과정을 거쳐 오다 6.25 동란 때 소실된 것을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태사묘는 3태사 자손들이 공동관리하고 있는데 태사묘 경내에는 묘정비, 보물각, 숭보당, 경모루가 있습니다. 이 건물들은 경상북도 시도기념물 제15호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E* C******
날짜: 2020-10-21 08:30:05
코멘트: 5
코멘트: 안동 태사묘는 역사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공간이다. 나는 그 장소를 즐긴다. 사원이 너무 아름다워서 영화 킹덤이 생각나네요. 장소는 찾기 쉽습니다. 일단 그 장소에 들어서면 사원의 구조와 그것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에 놀라게 될 것입니다. 또한 근처에 저렴하게 식사할 수 있는 곳도 있습니다. 나는 너무나 조용하고 아름다운 곳을 좋아했습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Photo

이름: W* B
날짜: 2020-09-21 09:20:29
코멘트: 5
코멘트: 조아요

이름: �**
날짜: 2020-09-13 01:19:16
코멘트: 5
코멘트: 네 감사합니다

이름: �**
날짜: 2020-08-12 07:54:40
코멘트: 4
코멘트: 한적하고 고요한 공간. 도심 속에 잠깐 들러 시간을 멈추기에 좋은 곳이다
Photo

이름: �**
날짜: 2019-11-11 05:48:12
코멘트: 5
코멘트: 매우 좋아요

이름: �**
날짜: 2019-09-29 18:34:49
코멘트: 5
코멘트: 아주 멋진 곳입니다^^
PhotoPhotoPhoto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19-09-24 16:33:03
코멘트: 4
코멘트: 영주 시내 한복판에 있는, 숨은 듯이 있는 공원. 겉만 봐선 오래된 건물이 덩그러니 있는 게 심심하게 보였다.천천히 발을 들여놓고 여기저기 살피니 조금씩 마음이 달라졌다. 건물에선 오래된 향기가 났고, 정원은 생각보다 넓고 깨끗했다.무엇보다 정원이 좋다. 풀이 깔린 정원은 그 자체로 기분을 좋게 만든다. 의외로 실내가 넓다. 작은 문을 지나면 또 건물이 나오고, 큰 나무가 나온다. 건물 뒤로 돌아가면 또 큰 정원이 나오고 건물이 나온다. 건물이 숨바꼭질 하는 것만 같다.안동태사묘는 고려 개국공신인 김선평, 권행, 장정필 3명을 모신 곳이다. 왕건이 견훤을 물리치고 후삼국을 통일하는데 이들 셋이 아주 큰 공을 세웠다 한다. 이들에게 내린 직이 태사. 정1품 명예직이니 그 공을 짐작할 수 있다.보물각은 고려시대 유물이 모셔진 곳이다. 칠잔, 금대, 갖신, 비단, 공민왕의 친필교지 등이 보존돼 있다. 그 외 사당, 삼태사 후예들이 회의를 하는 공간인 숭보당, 동재와 서재 등으로 이뤄진다.역사공부를 하기에도 좋지만 가볍게 산책을 하기에도 좋은 장소다. 시내 번화가에서 도보로 5분 거리다.
PhotoPhoto

이름: �**
날짜: 2019-08-03 05:19:10
코멘트: 5
코멘트: 날은 더워도 하늘은 맑아요. 태사묘
PhotoPhotoPhoto

이름: h*** l**
날짜: 2019-06-05 12:05:25
코멘트: 5
코멘트: 고려건국의 결정적 계기를 제공한 3인의 위패가 모셔진 곳. 3 집안의 시조를 모신 곳으로 3 집안이 동시에 제사를 지내는 곳

이름: N**** K**
날짜: 2019-05-11 07:46:42
코멘트: 5
코멘트: 안동 김씨, 권씨, 장씨의 시조가 모셔있는 곳. 비오는 날이었는데 해설가님께서 반갑게 맞이하여 주셨습니다. 저와 동행한 외국인 친구를 위해 보물 전시관도 손수 문을 열어 보여주시고 자세하고 재미있는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PhotoPhotoPhoto

이름: �***
날짜: 2019-02-06 04:52:47
코멘트: 5
코멘트: 안동 김,권,장씨 삼사의 묘..가볼만해요..

이름: J*** S*** K**
날짜: 2016-08-30 10:11:18
코멘트: 4
코멘트: 안동의 역사를 보여주는 장소